[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사람의 심리를 가지고 놀 줄 아는 김지운 감독이 혼란스러웠던 시절의 ‘밀정’에 대해 이야기 한다. 일본군과 독립군의 신념 문제라기보다 한 사람이면서 두 가지 마음을 오고 가는, 사람의 심리를 살펴본다.
영화 ‘밀정’에서 일본군 이정출(송강호 분)은 초반부터 속을 알 수 없다. 독립군인 김장옥(박희순 분)을 체포하는 작전에서 이정출은 그를 죽이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일본군이면서 독립군을 돕는다’는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행동들이 이어진다. 그의 행동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당시에 독립운동을 하다 친일파가 된 사람은 많았다. 하지만 친일파에서 독립운동을 한 사람은 찾기 힘들다. 그래서 이정출이란 인물은 간절한 바람으로 만들어진 판타지일 수도 있다. 이정출은 실존 인물 황옥을 모티프로 했다. 황옥이 실제로 독립군 역할을 했는지, 일본군으로 최선을 다했는지, 아니면 하다 보니 그 경계에 서게 됐는지 아직 평가가 완전하지 않다. 공식적으론 일본군이었지만, 비공식적으로는 독립군이었을지 모른다는 가정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이정출은 의열단에 침투해 정보를 빼오라는 특명을 받고 의열단 리더인 김우진(공유 분)을 만난다. 정출과 우진은 상대가 누구인 줄 알면서도 ‘형님’‘아우’라며 친근하게 군다. 하지만 헤어지는 순간, 그들은 이내 표정을 바꾼다. 아슬아슬한 심리전이 시작된 것이다.
여기에 의열단장 정채산(이병헌 분)이 등장해 이정출이 의열단에 끼어들게 만든다. 이정출은 “다음번에 만나면 둘 중에 하나는 죽어야 할거야”라며 긴장감을 부여한다.
하지만 이후 영화의 긴장감은 다소 떨어진다. 이정출이 일본군과 독립군 사이에서 밀정이 되는 심리 변화가 안일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우진과 정출은 너무 쉽게 친구가 되어버리고 서로를 믿는다. 정출은 “넌 이 나라가 독립될 거 같냐”라고 말을 하는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독립군을 도와준다. 그리고 우진은 쉽게 이정출을 믿는다. 그들은 언제부터 ‘우리’였을까. 그 이유는 단 하나로 설명이 된다. 어떤 사람이라도 조국은 하나라는 것이다. 대한민국 사람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자신의 민족에게 연민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만 오히려 이런 설정 때문에 생기는 반전과 아이러니가 더 흥미롭다. 너무나 쉽게 자신이 의열단 깊숙한 곳에 들어오게 된 이정출은 당황하며 코믹한 신들을 선보인다.
심리 싸움도 이정출-김우진보다 일본군이지만 한국 이름을 사용하는 이정출과 창씨개명한 하시모토(엄태구 분)의 대결이 더 불꽃 튄다. 배우 엄태구는 이정출을 감시하는 하시모토 역을 맡았는데, 쇳소리에서 풍겨져 나오는 독기어린 목소리가 극을 압도한다.
정채산 역으로 특별출연한 이병헌은 김지운 감독ㆍ송강호와 8년 만에 만났다는 의미 외에도 특별 출연 이상의 존재감을 뽐낸다. 송강호와 이병헌과 공유가 삼자대면하는 신은 가장 묵직하면서도 재치 있는 신이다. 묵직함은 이병헌이, 재치는 송강호가 맡았다.
김지운 감독이 가장 잘 하는 것 중 하나인 스타일리쉬한 액션신은 ‘놈놈놈’을 연상시켜 관객의 마음을 충족시킨다. 특히 단체로 지붕을 타고 추격신을 펼치거나 기차 안에서 펼쳐지는 액션은 김지운 감독의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음악과 미술 또한 ‘밀정’을 가득 채우는데 한 몫 했다. 모그 음악감독이 참여, 초반 심리전에서는 공포물에서 등장할 법한 배경음악을 공들여 만들어내 스릴감 넘치는 장면을 탄생시켰으며, 후반에는 재즈 음악으로 우아한 반격을 토해낸다.
밀정이라는 소재를 비롯해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했기 때문에 ‘암살’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 다만 ‘암살’이 사건 자체에 중점을 뒀다면, ‘밀정’은 인물의 내면에 초점을 맞춰 보다 짜임새가 리드미컬하며 화려한 맛이 있다. ‘암살’과 달리 극에 발랄함을 부여한 것도 차이점이다.
전자신문 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leejh@entero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