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재난대응 로봇 개발을 본격화했지만, 중소기업 중심 소재·부품 개발에만 집중돼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신산업에 걸맞게 대기업 참여 기회를 넓혀 정책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가 안전로봇 연구개발 예산은 76억원에 그쳤다. 산업부는 올해 로봇산업핵심개발 과제 중 하나로 `재난대응로봇 국제공동연구`에 36억원, `국민안전 로봇프로젝트`에 40억원을 각각 배정했다.
하지만 개발 목표와 달리 예산이 턱없이 적을 뿐 아니라 중소기업 위주 소재·부품 개발 중심으로는 성과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현재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 참여 기업은 모두 중소기업이다.
업계 전문가는 “재난대응 로봇은 현재 소방분야만 있지만 국방 등 분야에서 활용 여지가 크다”며 “국가가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할 부분이 있기 때문에 대기업이 함께 참여하면 좋은데 대기업으로선 높은 부담금으로 비즈니스 확신을 갖기 어렵다”고 밝혔다.
세계 재난대응 로봇 시장은 높은 성장세에 있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에 따르면, 해외 복합재난로봇 시장은 2011년에서 2014년까지 1억2600만달러 규모였던 것이 지난해부터 2018년까지 2억5400만달러 규모로 갑절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안전로봇 관련 시장도 막 형성되는 단계지만 2018년까지 연평균 시장증가율 10.9%로 급속하게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진호 KIRO 안전로봇사업단장은 “직접적인 안전로봇 시장 규모는 2100만달러 규모로 크지 않지만, 연관성이 높은 무인지상차량(UGV)이나 무인항공기(UAV) 시장은 급속히 팽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세계 주요국은 일찌감치 재난대응로봇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키우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13년 과학기술혁신 종합전략 5대 분야 중점추진과제에 재난·재해 대응 로봇 기술 개발을 포함했다. 지난해 로봇혁명실현회의에서 2020년까지 총 1000억엔(약 1조1000억원) 을 투자하는 로봇분야에도 재난대응 로봇이 있다. 유럽연합(EU)도 2013년부터 지능형 탐색·구조 로봇을 위한 프로젝트를 출범해 지뢰탐지, 대테러 수색 등 로봇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중국이 `소방구조로봇`을 로봇산업발전기획에 포함해 대대적 투자를 예고하고 있다.
서 단장은 “중국이 국가 전략으로 지정한 것이라 구체적 액수는 접근이 어렵지만 국가적으로 키우는 만큼 대규모 액수를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현재로선 참여할 만한 대기업을 찾지 못해 답답해하긴 마찬가지다.
이헌두 산업부 기계로봇과 사무관은 “국민안전로봇프로젝트에는 중소기업만 참여한다”며 “일부러 대기업을 막은 것은 아니고 아직 참여할 만한 대기업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