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연상호 감독이 영화 ‘부산행’과 함께 작업한 애니메이션 ‘서울역’은 ‘부산행’의 흡입력은 그대로 가져왔고, 더욱 날카로운 시선을 보여준다. ‘서울역’이 ‘부산행’의 프리퀄이라 소개됐고 비슷한 소재가 사용되고 비슷한 시기에 개봉하기 때문에 두 영화를 연장선상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두 영화는 시작점은 비슷할지라도 다른 이야기를 한다. ‘부산행’에서 희망을 이야기하던 연상호 감독은 ‘서울역’에서 철저하게 희망을 배제한다.
가장 먼저 생각해 봐야할 것은 왜 서울역이냐는 것이다. 서울역은 모든 인간 군상이 모이는 공간이다. 노숙자부터 집을 나온 소녀, 딸을 찾는 아버지, 그리고 경찰과 간호사까지 누가 있더라도 어색하지 않은 곳이다.
다양한 사람이 모여 있기 때문일까. ‘서울역’에서 사람을 대하는 태도는 확실히 구분된다. 노인이나 다친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그가 노숙자라면 그럴 필요가 없다. 노숙자가 어려움 속에 있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곤경에 처하면 누구든 노숙자로 취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서울역에서 의문의 좀비 바이러스가 퍼지고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된다. 생존을 위해 사람들은 서울역을 떠나 도망친다. 하지만 도망치는 당사자들도 알고 있다. 애초에 도망갈 데가 없다는 것을. 그들은 사람들을 죽이면서까지 도망치지만 안전지대를 찾지 못한다.
‘부산행’에서 정부는 좀비가 창궐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에게 안전하다고 했다. ‘서울역’에서는 겁에 질려 모여 있는 국민에게 불법적인 집회를 멈추라고 한다. 좀비물이 의례 그러하듯 ‘서울역’도 좀비의 모습을 통해 현실을 투영한다. ‘세상이 다 썩었는데 살아서 뭐 하겠어’라는 대사가 좀비물을 만든 연상호 감독을 대변해준다.
연상호 감독의 디스토피아는 완벽하게 절망적이다. 좀비보다 무서운 건 인간이라는 ‘부산행’의 이야기를 다시 한 번 하면서 사건을 더욱 비극적으로 끌고 들어간다. 이기적인 사람은 자신이 이기적인 줄도 모르고 자신이 생각하는 하층민들과 함께 죽는 것을 거부한다. 연상호 감독은 이런 캐릭터를 통해 문제점을 자각할 수 있게 만들며, 사회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애니메이션이지만 실제 서울을 그대로 옮겨온 듯한 사실적인 배경이 담겨 있어 오묘한 느낌을 준다. 배우 류승룡, 심은경, 이준이 각각 딸을 찾기 위해 거리로 나선 아버지 석규, 집을 나온 소녀 혜선, 여자친구를 보호하려는 남자친구 기웅의 목소리를 맡았다.
다만 프리퀄이라고 해서 ‘부산행’의 첫 장면을 장식한 소녀가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는다. ‘서울역’은 ‘부산행’과 느슨하게 이어진 하나의 세계관을 공유한 시리즈물 정도로 보는 것이 좋다. 15세 이상 관람가이며, 오는 17일 개봉한다.
전자신문 엔터온뉴스 이주희 기자 leejh@entero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