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금융위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인 금융위기 진원지가 2008년 미국에서 시작해 2010년 유럽을 거쳐 중국으로 이동했다.
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중국 비금융기업부채 총액은 17조4420억달러다. 전체 신흥국 기업부채 24조3800억 달러의 71.5%에 달했다. 중국 비중이 70%를 넘은 건 처음이다.
신흥국 기업부채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56.6%(7조6810억달러)에서 2011년 60.3%(9조4980억달러), 2012년 62.4%(11조6180억달러), 2013년 65.8%(14조2420억달러), 2014년 68.5%(16조510억달러)로 매년 늘었다. 이는 미국(12조6280억달러)보다도 40%가량 많은 수치다. 우리나라 1조3660억달러에 비해서는 12.8배나 많다.
이런 급증세는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풀어놓은 막대한 자금이 중국에 흘러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기업부채 급증과 함께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지만 중국 기업은 귓등으로 듣는 모양새다. 차입한 자금은 해외 인수합병(M&A)에 대부분 쓰인다.
중국 기업이 올 들어 추진한 10억 달러 이상 해외 기업 M&A는 727억달러에 이른다. 이중 절반가량이 역외에서 얻었다. 최근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에서 5년간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6.5∼7.0%로 제시하는 등 성장에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중국 당국이 아예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중국은 5월부터 한계기업 퇴출에 나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중국 정부 부실기업 퇴출이 경제성장률 목표치 달성에 밀려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신용위기로 번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중국 지방 중소은행들이 부실기업은 물론 일반기업까지 대출을 연장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신용위기는 다른 신흥국으로 번지면서 글로벌 은행 시스템 위기로 옮겨갈 가능성도 적지 않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가계부채가, 유럽 재정위기는 정부부채가 국제금융시장 시스템 위기를 유발했다”며 “과잉부채가 위기로 이어진다는 관점에서 2009년 이후 신흥국 기업 차입비율이 급속도로 확대됐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창선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