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망경]프라임사업

Photo Image

29일 교육부가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프라임) 사업’을 확정, 발표했다. 취업 잘되는 학과 중심으로 구조조정 잘하는 대학에 최대 300억원까지 지원하겠다는 통큰 계획이다. 재정 적자에 허덕이는 대학은 눈이 번쩍할 정도의 대형 사업이다. 전체 예산규모는 ‘대학특성화(CK) 사업’이나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사업’과 엇비슷하지만 개별 학교에 지원하는 규모가 크기 때문에 대학은 솔깃할 만하다.

대학가는 기본계획안이 나온 지난 10월부터 술렁이기 시작했다. 산업수요와 대학정원 간 미스매치를 해결하고 장기적으로 청년 취업률을 끌어올리는 게 프라임사업 목적이지만 대규모 대학정원 조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프라임사업 지원을 받으려면 산업 수요보다 정원이 부족한 학과는 늘리고 많은 학과는 줄여야 한다. 취업이 잘되는 이공계 중심으로 학사를 개편해야 유리하다. 공학계열은 정원이 늘어나고 기초·인문 계열은 상대적으로 위축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벌써 일부 대학에선 인문계열 교수들이 반대서명 운동에 나서는 등 학내 갈등이 시작됐다. 한 대학 총학생회는 프라임사업을 ‘도박 같은 사업’이라며 문제제기를 한다.

교육부는 정원 조정 계획을 대학 자율에 맡기고 대학 구성원 간 합의로 이끌어내는 것을 원칙으로 세웠지만 대학과 이해관계가 걸린 학과 간 조율은 쉽지 않다. 학과 정원이 인기 좋은 공학계열로 몰리다 보면 기초·인문학은 축소되거나 폐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있다.

이런 저런 문제로 대학도 예산 지원 규모가 큰 프라임사업에 관심은 있으되 선뜻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다. 구성원 전체 동의를 얻기도 힘들지만 거센 반발을 감수하면서까지 지원하기엔 선정될 확률이 낮다. 산업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려는 프라임사업이 ‘뜨거운 감자’가 된 셈이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