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대우증권과 산은자산운용 매각 본입찰에 KB금융,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대우증권 우리사주조합 등 4곳이 참여했다. 우선협상대상자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발표된다.
산업은행은 21일 정오 본입찰을 마감한 결과 4곳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매각 대상은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증권 보통주 1억4048만1383주(지분비율 43.0%)와 산은자산운용 보통주 777만8956주(지분비율 100%)다.
우선협상대상자는 24일 산은 금융자회사 매각추진위원회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선정한다. 본입찰에 참여한 4개사가 제시한 가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4개사가 모두 참여한 만큼 장부가 1조7758억원보다 높아질 전망이다. 제안서를 정오에 마감해 오전 주가기준으로 가격을 제시했을 가능성이 크다. 대우증권 보통주는 이날 오전 주당 1만800원에 거래됐다. 지분 43% 가격은 1조5000억원 수준이다.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 30%가량을 보태면 2조원 안팎이 될 전망이다. 올 초 매각가로 오르내렸던 2조5000억~3조원과는 거리가 멀다.
산업은행은 최종입찰서를 제출한 4개사에 매각가치 극대화, 조속한 매각, 국내 자본시장 발전 기여라는 매각 원칙을 제시했다. 국가계약법상 최고가 원칙에 맞도록 절차를 진행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4곳 모두 2조원 이상 자금조달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자금 조달이 유리한 곳은 실탄이 넉넉한 KB금융이다. 회사채 발행이나 유상증자가 필요 없다. 자산규모가 317조원이고 총자본비율도 15.68%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이 1조3517억원을 달성한 데다 자회사 국민은행으로부터 배당금도 약 2000억원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머지 인수 자금은 회사채 발행도 가능하다.
한국투자증권은 자기자본 8000억원에 회사채 발행과 지주사 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유상증자하지 않고 500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과 지주사 5000억원 차입, 은행권 8000억원 자금 대여가 가능할 것으로 전했다.
미래에셋증권은 1조원을 유상증자했고 대우증권 인수금융 자금으로 은행권에서 8000억원을 대여할 예정이다. 자기자본 2조5000억원 가운데 5000억~1조원도 가용자산으로 알려졌다.
자기자본 4조3000억원을 가진 대우증권 인수는 경영권 프리미엄 평가로 갈려질 전망이다.
한국투자증권이나 미래에셋증권 입장에선 대우증권 인수는 업계 최대 증권사이자 자기자본을 활용해 아시아를 대표하는 투자은행(IB)으로 발돋움할 기회다. KB금융지주 역시 IB 부문 강화로 새 먹거리 창출을 노릴 수 있다. 다만 지분 30%만 보유하면 경영권을 인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영권 프리미엄을 어디까지 인정하고 가격을 썼느냐가 관건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우증권 인수전 결과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얼마나 썼느냐가 가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입찰 마감 결과 미래에셋증권이 최고액 2조4000억원 내외를 써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증권 매각 입찰
자료 각사 취합
대우증권 매각 입찰사 자금조달 계획
자료 각사 취합
![대우증권 주인 경영권 프리미엄 가격 가를 것](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6504_20151221193859_809_T0001_550.png)
![대우증권 주인 경영권 프리미엄 가격 가를 것](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6504_20151221193859_809_T0002_550.png)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 김지혜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