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3곳 중 1곳은 첫 수출 이후 규모가 축소되거나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8월 18일∼9월 4일 수출 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초 수출시장에 진입한 중소기업 중 지속적으로 수출이 늘어난 ‘성장기업’은 62.3%에 머물렀다. 나머지 34.7%는 수출을 줄이거나 중단한 ‘후퇴기업’으로 나타났다.
후퇴기업 가운데는 최초로 수출시장에 진입한지 1년 안에 수출이 감소하거나 중단되는 경우가 35.6%로 가장 많았다.
원인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감소’(51.9%)가 가장 많았고 ‘중국 등 신흥국 저가공세로 인한 가격경쟁력 상실’(35.6%)이 뒤를 따랐다.
국가별로는 중국(39.5%)이나 아세안(36.4%) 등 신흥시장에서의 최초 수출 이후 1년 안에 후퇴기업이 된 비율이 컸다. 반면 일본(54.5%)과 북미(38.9%) 등 선진시장은 수출 5년 이후 후퇴기업이 됐다는 업체 비율이 높았다.
수출이 늘어난 성장기업의 경우 수출증가가 ‘매출액·수익성 확대’(72.3%)와 ‘신시장·거래처 다변화 통한 경영안정’(41.7%)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이들 업체 가운데 35.3%는 수출에 대한 각종 ‘지원정책을 활용한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지원책을 활용해 본 기업은 ‘마케팅·판로’(42.8%)와 ‘기술·인증’(21.9%) 지원책이 도움이 됐다고 답변했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