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코스콤 ‘자본시장 IT콘퍼런스’ 마지막 코너였던 패널토의 시간에는 학계, 산업계, 연구기관 등의 각계 전문가가 모여 ‘자본시장 핀테크의 발전 가능성’에 공감하면서도 추진 방향에 대해서는 다른 시각을 제시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4/678349_20150422193231_501_0001.jpg)
토론 좌장 김대식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는 “핀테크가 기존 금융 시장이 제공했던 여러 기능을 보다 효율화하고 빠르고 값싸게 실현하는 기술에 초점을 맞춘 것인지, 기존 금융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이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대해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핀테크는 둘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개념”이라며 “가장 쉽게 출현할 수 있는 게 금융 틈새 서비스로, 기존 금융사의 비효율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핀테크가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은행권 위주로 핀테크가 추진되는 모양새에 대해서 이 연구위원은 “핀테크 혁신의 타깃이 은행업이어서 그런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은행 예금 자산은 포화상태이고 저금리, 저성장, 고령화에 접어든 상황에서는 투자업이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국내 상황을 인지하고 자본시장 개혁의 일환으로 핀테크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자본시장 업계에 종사하는 구원회 미래에셋증권 스마트비즈부문 대표는 불필요한 규제 척결이 자본시장 핀테크 활성화 도화선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구 대표는 “비대면 실명확인, 정보공유 이슈 등 자본시장이 활발하게 핀테크 산업을 발전시키기에 걸림돌이 적지 않다”며 “은행만큼 증권 투자업계도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일단 국내에서 혁신적인 핀테크 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될 수 있을지에 대한 시범사업을 가동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유신 서강대 교수는 “다양한 논의도 중요하지만 일단 핀테크 모델을 작동시켜보고 추이를 지켜보는 것도 중요하다”며 “규제를 없애주는 환경에서 대학생 등 특정 집단을 상대로 실제 핀테크 사업을 작동시켜 성공모델과 인프라를 우선적으로 만들어 보는 게 중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기존 금융사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파괴적인 혁신’을 자처해야 자본시장에서의 핀테크가 장기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강한 주장도 제기됐다.
황병선 카이스트 SW대학원 교수는 “핀테크는 국내 시장이 아닌 세계 시장을 바라보는 게 맞다”며 “향후 보험사, 증권사, 은행 등의 구분이 무의미해지고 금융도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자본시장은 이제 금융이 플랫폼으로 변할 것임을 인지하고,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버릴 각오까지 수반한 뼈를 깎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