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사가 개발 중인 신약을 대형 다국적 제약사에 7천억원이 넘는 돈을 받고 수출했다. 단일 기술수출 계약으로는 국내 제약사 가운데 최대 규모다.
한미약품은 미국의 다국적 제약사 일라이릴리사와 자사가 개발 중인 면역질환치료제 ‘HM71224’의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라이선스 및 협력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릴리는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지역에서 HM71224의 모든 적응증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임상개발과 허가, 생산, 상업화를 진행하게 된다.
한미약품은 그 대가로 릴리로부터 계약금 5천만 달러를 우선 받게 되며, 이후 임상개발, 허가, 상업화 과정에서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로 최대 6억4천만 달러를 받는다. 상업화 이후에는 별도로 두자릿 수 퍼센트의 로열티가 지급된다.
한미약품은 “개발 성공시 계약금과 마일스톤만 우리 돈 7천800억원에 달해 국내 제약사의 기술수출로는 최대 규모”라고 설명했다.
HM71224는 인체의 면역세포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하는 데 작용하는 효소인 인체의 BTK(Bruton`s Tyrosine Kinase) 효소를 억제하는 방식의 치료제로, 현재 임상 1상을 마치고 2상 진입을 앞두고 있다.
한미약품과 릴리는 류머티즘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루푸스) 및 관련된 신장염, 쇼그렌증후군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HM71224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릴리의 토머스 부몰 생명공학 및 자가면역 연구 수석 부사장은 “릴리는 자체 연구 뿐만 아니라 이번 한미와의 협력과 같은 사례를 통해 면역질환 분야에서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며 “HM71224가 면역질환의 혁신적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도록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관순 한미약품 사장은 “HM71224에 대한 전임상과 유럽 1상 임상시험을 통해 류머티즘관절염 등의 면역질환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향후 진행될 릴리와의 연구개발(R&D) 협력이 관련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창용기자 creator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