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자원외교 국정조사특위가 2차 청문회에서도 이명박 정부 자원개발사업에 대한 성과를 두고 대치할 전망이다. 지난 8일부터 16일까지 캐나다, 멕시코 등지를 돌면 현장시찰을 다녀왔지만 여당과 야당의 평가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3/666040_20150319191232_195_0001.jpg)
19일 국회 관계자에 따르면 자원개발 현장시찰 관련 여당 의원들은 유지 필요성을, 야당 의원들은 실패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원개발사업에 대한 양측의 의견이 전혀 좁혀지지 않으면서 곧 예정된 2차 청문회에서 논란이 증폭될 것이란 관측이다.
야당 의원들은 하베스트와 암바토비, 볼레오 사업 등 주요 자원개발사업에 부실을 연이어 지적했다. 앞서 지난 18일에는 암바토비 니켈광 사업 관련 국제 원자재 값 폭락에 따른 적자 가능성과 함께 하베스트의 볼레오 동광 사업 수익 하락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19일에는 대한석유공사의 하베스트 인수 관련 비용 지불에 의혹을 재기하며 공세를 이어갔다.
반면에 여당 의원들은 우려했던 것보다 잘 관리되고 있고 사업유지 필요성도 있다는 의견을 냈다. 글로벌 기업과 함께 벌인 사업이라 비리와 부실 가능성이 낮은 데다 적자문제도 심각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암바토비 사업은 국제 니켈가격 하락으로 적자상태인 것은 맞지만 생산가격 경쟁력이 세계 상위 25% 수준으로 향후 공급량 조정 이후 수익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진단했다.
자원개발 공기업은 난감한 표정이 역력하다. 이번 현장시찰로 그동안 제기됐던 의혹과 우려가 조금이나가 해소되길 기대했지만 사실상 성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일부 사업에 대해 폭로전 양상이 벌어지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앞서 전순옥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석유공사의 쿠르드 유전개발 관련 서명보너스가 담당 장관 뇌물로 사용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쿠르드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국회의장에게 항의 서한을 보내고 국제소송 가능성까지 제기한 상태다. 사업 취소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지만 아직 석유공사와 계약부분에 대한 별도 조치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조특위 한 위원은 이번 특위활동이 사업관련 비리와 부실경영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에서 본 자원개발 사업은 내부적으로 준수한 상황이었다”며 “국제가격 하락 등 외부요인에 의한 문제를 부각시켜 미래가능성까지 부정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