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창조혁신센터, 유통·영화·사물인터넷산업 이끈다

16일 문을 연 부산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유통·영화·사물인터넷(IoT) 지원을 담당한다. 센터는 대·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지원기관 등의 협력 구심점 역할을 하고 성장 한계에 직면한 전통 제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발굴한다.

부산 센터는 대구, 대전, 전북, 경북, 광주, 충북에 이어 일곱 번째로 문을 열었다. ‘혁신상품 가치 제고와 유통산업 혁신 거점’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외연이 정보통신기술(ICT)과 제조업에서 유통·문화·안전 등 서비스산업 분야로 확대된다는 의미가 있다.

국내 최대 유통기업인 롯데 그룹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자사 유통·마케팅 노하우와 부산지역 영화·영상 분야 강점을 결합해 창조적 역량을 선도한다. 롯데그룹은 센터 건립비용과 운영기금 등 150억원, 벤처창업 및 영화산업 특화펀드 출연금 650억원, 사물인터넷 테스트 베드 구축 및 시범사업 운영비 200억원 등 모두 1000억원을 투자한다.

롯데그룹은 유통 관련 계열사 노하우를 활용해 혁신상품을 기획하고 디자인과 브랜드, 마케팅, 판로개척을 지원해 부산센터를 유통산업 혁신거점으로 만든다. 롯데그룹 유통 전문가(MD)가 센터에 상주하며 상시 상담하고 영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한 심층상담을 실시,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제품 혁신을 지원한다. 제품 홍보영상·사진제작, 홈쇼핑·온라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스마트스튜디오’도 운영한다.

강현구 롯데홈쇼핑 대표는 “유통 채널에 최적화한 콘텐츠 제작부터 교육, 판로 확대까지 지원해 부산·경남지역과 동반성장을 도모하는 핵심 공간으로 스마트 스튜디오를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전통산업인 신발, 패션의류, 수산물 상품가치를 높이는 사업도 추진한다.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비중이 높은 신발산업은 자체 브랜드 개발, 디자인·기능개선, 판로개척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신진 패션디자이너를 위한 ‘패션디자인 창작소’를 운영하고 수산 분야에서는 롯데중앙연구소 가공기술을 접목한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할랄 인증 지원, 중국 유통망 정보공유를 지원한다.

부산지역 영화·영상 창작 생태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도 부산 센터 역할이다. 희귀·명작 영화 라이브러리(2000여편)와 문화창조융합센터의 디지털콘텐츠 DB를 활용해 시나리오와 극본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부산지역의 촬영·스튜디오·편집시설과 지역 촬영장소 등을 DB화해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신인·유망 창작자를 양성하는 부산 영화아카데미도 신설한다.

센터는 부산시 스마트시티 구현계획과 연계해 사물인터넷(IoT) 산업을 미래성장동력으로 키운다. 해상안전감시 드론·해수욕장 미아방지·스마트 횡단보도 등 7개 IoT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창업 공모전을 개최해 창업을 촉진한다.

Photo Image
개소 창조경제혁신센터 현황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