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국내 수요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소비·투자 확대 등 ‘유효수요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우리 경제가 처한 대내외 어려움을 돌파하기 위해 총체적인 노력을 경주하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3/663507_20150312151902_749_0001.jpg)
유효수요 창출을 위한 방안으로는 적정 수준 임금인상을 통한 가계소비 촉진, 민간의 풍부한 여유자금을 활용한 민간 투자사업 활성화 등을 꼽았다. 특히 민자사업과 관련해 “정부가 민간과 ‘이익’ 뿐 아니라 ‘손실’도 공유하는 새로운 사업방식을 도입하고 민간투자 대상시설을 지방상수도, 노후도로 개량, 도시재생 기반시설 등으로 확대하겠다”며 “민간투자 절차를 대폭 간소화해 사회기반시설을 적기에 확충하겠다”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각 부처는 민간투자 수요가 있으면 예비타당성조사, 민자적격성 심사 등 관련 절차를 사전에 최대한 조속하게 진행해달라”며 “정부 예산 반영이 필요한 사업은 예산 순기에 맞춰 사전에 조치 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조개혁의 가시적 성과를 최대한 빨리 창출하겠다는 의지도 다시 한 번 밝혔다. 그는 “3~4월에는 구조개혁의 가시적 성과를 반드시 창출하도록 하겠다”며 “구조개혁을 주저하는 것은 청년의 미래를 가로막는 것인 만큼 비장한 각오로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의 중동 4개국 순방 성과를 언급하며 “창조경제 모델을 수출해 창업인력의 해외진출 초석이 마련되는 등 제2차 중동 붐 기대를 불러일으키는 큰 성과가 있었다”며 “한중 FTA 기대에 힘입어 지난해 외국인 투자가 크게 증가하는 등 우리 경제에 대한 해외 투자자의 관심도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호기를 최대한 활용해 인바운드(외국인투자), 아웃바운드(해외투자) 등 모든 측면에서 총체적·총력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순방 성과가 지속 확산되도록 외국인투자와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는 수출입 동향 점검, 제조업 혁신 3.0, 안전산업 활성화 등 투자 촉진 방안을 논의했다. 관련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주 개최 예정인 제8차 무역투자진흥회의 등에서 발표될 전망이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