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6개 에너지 신산업을 지정해 육성한다. 2017년까지 2조800억원에 달하는 시장을 조성하고 1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17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신산업 창출방안’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이번 방안으로 수요관리시장 창출에 주안점을 뒀다. △전력 수요관리 사업 △에너지관리 통합서비스 사업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사업 △태양광 렌털 사업 △전기차 서비스·유료충전 사업 △화력발전 온배수열 활용 사업을 에너지 분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울 계획이다. 정부는 9·15 전력 대란 이후 공급 위주 정책으로는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고 보고 에너지 정책 패러다임을 수요관리 중심으로 전환했다.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사용자의 자발적 절감 노력이 필수라고 판단해 수요관리시장 창출로 민간 참여를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성장 가능성이 큰 사업 모델을 개발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는다는 게 이번 정책의 핵심이다.
ICT와 에너지산업 융합으로 다양한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대규모 고용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간 수요관리사업자의 전력시장 참여를 허용하는 ‘네가와트’ 사업을 포함해 산업부가 선정한 6개 아이템은 사업화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네가와트 사업은 빌딩이나 공장설비에 ICT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을 설치해 수요에 따라 에너지 소비를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모델이다. 전력 수요가 늘어나 예비율이 떨어지면 전력소비를 줄이고 이를 전력시장에 입찰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미국의 에너녹, 프랑스 에너지풀 등 네가와트 모델로 이미 성공을 거둔 기업을 통해 사업성은 입증됐다.
대규모 사업장을 보유해 독점 우려가 있는 대기업 참여를 30%로 제한하고 한국전력이 관리하는 전력소비 데이터 사용권도 보장할 예정이다.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에너지저장장치(ESS)·에너지관리시스템(EMS)은 보급 확대를 위해 사업성 분석부터 사업관리까지 전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LED)는 설치 이후 전력 절약분만큼 투자비를 상환하는 민간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사업 방식으로 보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태양광 렌털사업은 월 350㎾h 이상으로 전기 사용량이 많은 가정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전기요금을 줄이고 가정이 납부하는 대여료와 신재생 생산인증서 판매로 수익을 확보한다.
이 밖에도 전기차 서비스와 유료충전사업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고 전기택시, 렌터카, 카셰어링 등 전기차 서비스업체(B2B)에 우선 유료 충전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화력발전 온·배수열 활용 사업은 화력발전소 온·배수열을 인근 영농단지에 보급하면 신재생공급인증서(REC)를 발급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 같은 신산업의 육성으로 향후 에너지와 기후변화 분야에 2조800억원 상당의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1만200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생겨날 것으로 전망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