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리더스포럼]소비자 중심 시장 접근이 우선돼야

사회: 황기현 한국전기자동차리더스협회 부회장

패널: 강희은 서울시 친환경교통과장, 손경종 광주광역시 전력산업과장, 신동석 환경공단 자동차환경처장, 황우현 한국전력 SG&ESS 처장, 이창호 한국전기연구원 센터장.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4 제2차 전기차리더스포럼’에서 산학연관 전문가들은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전기차 라이프싸이클 전반에 대한 메뉴얼부터 확립해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전기차 민간시장이 본격화됨에 따라 초기 시장 이미지가 앞으로 시장 활성화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동석 환경공단 처장은 “지금까지 민간 보급 사례를 통해 보급부터 운영 및 정비, 사후관리, 리사이클링 매뉴얼까지 만들 필요가 있다”며 “이 매뉴얼은 일반 소비자들이 전기차 시장을 믿고 신뢰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지금까지 보급 경험을 바탕으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방안도 제시됐다.

황후현 한전 처장은 “충전 등 인프라 이용이 불편하면 전기차 시장 이미지가 훼손될 수 있어 충전기 이용 절차 간소화와 이용자가 신뢰를 갖고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 등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전기차 민간 보급 경험을 통해 보급부터 운영·정비, 사후관리까지 데이터를 체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창호 한국전기연구원 센터장은 “지금까지 정부와 관련 산업계 마인드가 공급자 중심에서 고객, 즉 수요자 입장으로 시장 접근 전환이 필요하다”며 “전기차 뿐 아니라 충전 인프라를 이용 등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각종 서비스도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희은 서울시 과장은 “전기차 전용 주차장 등 충전인프라의 올바른 이용을 유도하는 교육과 충전시간을 제한하는 제도 마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민간 시장을 활성화하는데 다세대 공동 주택에 충전인프라 구축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손경종 광주시 과장은 “개보수나 신규건축물에 충전인프라 설계를 적용하도록 해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전기설비를 넣도록 했지만 의무화 규정이 아니라 지자체별 권장제도여서 실효성이 없다”며 “신규 건축물에 구축 의무화를 실시하면 향후 추가 설비에 따른 경제성 효과도 크지만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도 전기차 보급이 활발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