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영업비밀, 연구목적, 여론악화 등의 이유로 비공개됐던 환경공공정보가 대거 공개된다.
환경부는 일반 국민에게 개방하지 않았지만 국민생활과 밀접한 환경공공데이터를 2017년까지 81% 수준으로 적극 개방키로 했다고 8일 밝혔다. 개방되는 공공데이터는 전체 168개 데이터베이스(DB) 중 총 136개다.
이중 2013년 말까지는 전체의 55%인 52개 정보를 개방한다. 현재 범정부의 공공데이터 개방률 16.1%와 2017년까지의 개방 목표인 44.9%를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국민들의 건강과 관련된 먹는샘물 영업자의 법령 위반내역, 전국 약수터 등의 수질 정보와 실내공기 중 라돈 농도 조사결과 등은 온라인상에 수시로 그 결과를 공개했지만 원천데이터를 개방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행정3.0 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모든 환경정책 수립과 집행 시에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의 가치를 통해 국민들이 실제 체감하고 만족하는 환경행정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