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내 전기차 수요가 올해의 다섯 배 정도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정부는 이에 대비해 충전인프라 확충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박광칠 환경부 전기차보급팀장은 25일 오후 3시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개최되는 `3차 전기차리더스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전기차 보급사업 정책`을 발표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내년 지자체 수요를 조사한 결과 2000대를 훨씬 넘어서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제주도, 대전, 전남 지역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에 환경부는 민간보급 대상 도시도 기존 선도도시에서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차량 가격을 반영한 보조금 조정도 고려하고 있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충전인프라 확충에도 팔 걷고 나선다.
박 팀장은 “수요가 본격화되기 전에는 공공인프라 위주로 공급했지만 전기차 보급이 확산되는 산업 추이를 반영해 민간사업자 간 역할을 분담하는 방식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올해 급속충전기는 111대, 완속충전기는 951대가 구축됐다. 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급속과 완속충전기를 각각 400대, 8000대 수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운행 중 비상수요를 대비해 공공충전인프라는 연차적으로 지속 설치하고 완속충전기 설치는 장기적으로 제작사에 맡기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환경부는 국토부, 산업부, 한국전력 등과 협력해 공동주택 충전시설 마련도 병행한다.
이와 별도로 오는 2020년까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차 220만대를 보급하는 `국내 친환경차 보급로드맵` 수립 작업도 진행 중이다.
3차 포럼에서는 김효준 BMW코리아 사장이 한국의 입지조건과 BMW의 투자방향을 설명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내년 상반기 출시할 BMW i3을 위해 한국의 기술력 있는 중소 충전업체와 제휴해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8월 뉴욕·런던·베이징에서 전기차 `i3`을 소개한 BMW그룹은 내년 2분기 국내출시를 예정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전기차 분야 정부, 업계, 학계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문의 (02)2168-9663.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