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택시연료다변화 차원에서 디젤택시 지원방안 수립에 착수하자 이를 반대하는 액화석유가스(LPG)업계가 단체행동에 나섰다.
20일 LPG업계에 따르면 대한LPG협회, 한국LPG산업협회, 한국LP가스판매협회중앙회 등 LPG관련 단체는 `택시연료 다변화 정책에 반대한다`는 건의문을 정부와 정치권에 전달하고 소관부처인 국토교통부를 두 차례 항의방문 했다.
LPG업계는 이번 주에도 국토부를 방문해 업계의 뜻을 전달할 계획이다. 국토부가 LPG업계 의견을 수용하지 않고 정책 수립을 추진하면 대대적 항의 집회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택시산업 종합발전대책에 포함된 택시연료다변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디젤과 압축천연가스(CNG) 중 CNG에 더 비중을 두고 정책을 수립하려 했으나 CNG택시 충전인프라 비용과 안전성 문제에 부딪혀 디젤택시 쪽으로 선회했다.
LPG업계는 국토부가 실현 가능성이 적은 CNG택시 지원 정책을 검토할 때는 큰 위협을 느끼지 못했으나 최근 상대적으로 쉽게 도입 가능한 디젤택시 쪽으로 선회하자 일제히 단체행동에 나섰다.
LPG업계는 디젤택시 도입 반대 이유로 환경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들었다. 디젤택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을 배출하고 도심 주행이 많은 택시운행 여건상 대기환경 및 국민 건강에 큰 위해요인이 돼 정부와 국회에서도 이미 여려 차례 논의를 거쳐 도입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났다고 주장했다.
LPG업계는 또 사용제한이 없는 디젤의 택시 사용 여부가 검토되기에 앞서 LPG사용제한 폐지 등 형평성 있는 대책논의가 선결돼야 한다고 밝힌다. LPG차량은 택시,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사회적 약자가 사용토록 제한하고 있다.
홍준석 대한LPG협회 회장은 “환경부가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도시 대기질 향상을 위해 수조원을 투자해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 올렸는데 디젤택시를 도입하자는 것은 이를 거꾸로 돌리겠다는 행위”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