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가정용과 산업용 모두 전력사용량이 크게 늘면서 블랙아웃 공포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불량부품 문제로 원전 가동마저 제대로 안 되면서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지난 2011년 전력소비량은 45만5070GWh로 지난 10년간 63%나 증가했지만 발전설비 규모는 5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예비전력은 2011년 750㎾에서 2012년 450㎾로 해마다 줄고 있어 비상상황이 되풀이되고 있다. 수요는 느는데 공급이 받쳐주지 않으니 불균형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307/443295_20130701131324_446_0002.jpg)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안이 있다. 바로 LED다. LED는 일반조명에 비해 전기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효율도 높다.
지동근 수원대 교수는 2011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LED 보급정책 세미나`에서 민간용 국민 보급형 LED조명만 보급해도 원자력발전소 6기 증설 효과가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LED를 보급하면 국내 전력량의 10%(4만GWh)를 줄이고 전기료도 4조원가량 절감할 수 있다. LED가 글로벌 전력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키워드로 떠오른 이유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겪은 일본은 LED 보급 확산에 사활을 걸고 있다. 원전 54개 중 2기만 가동되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일본은 LED조명 보급을 두 배로 늘렸다. 자발적인 에너지 절약운동과 LED조명 보급이 늘면서 안정적인 전력운용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2022년 원전 폐쇄를 결정한 독일도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확대하며, LED조명 보급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국내 LED조명 보급률은 미약한 실정이다. 일반조명에 비해 다소 높은 가격과 홍보 부족 등으로 4.5%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마저도 공공시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민간시장 진입을 위한 지원책이 절실하다.
LED조명 보급 확대와 국내 LED 업계의 내수산업 진작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스마트 LED조명 테스트베드 시범지구 구축 등 다양한 보급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 전국 800여개 LED조명기업이 수도권을 비롯해 호남권, 충청권, 대경권, 동남권 등에 고르게 분포돼 있어 수급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LED조명 보급을 위한 아이디어도 있다. 민간금융 팩토링 자금과 에스코 자금 등의 활용을 늘려 전국 40개 국가산업단지의 모든 공장 조명과 지자체의 가로등·보안등, 공공·민간의 형광램프를 LED조명으로 교체하면 600만㎾의 전력수요를 줄일 수 있다. 이는 국내 LED산업계의 활로 개척과 전력난 해소,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등이 가능해 지자체가 친환경 도시로 탈바꿈하는 새로운 에너지 지표가 될 것이다.
LED조명 보급정책은 에너지 수급 불균형과 전력난을 해소할 수 있다. LED조명이 공공과 민간에서 활발히 이뤄지면 중소기업은 이를 레퍼런스로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 LED는 의료, 자동차, 농업 등 타산업과의 융·복합이 용이한 산업이다. 신시장을 만들 수 있고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
이를 육성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 의지다. `될성부른 새싹`을 키우기 위해 연구개발(R&D)과 마케팅 지원이 필요하다. 그렇게만 된다면 LED는 ICT와 융합산업을 접목한 창조경제의 대표 아이콘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의지가 구현되기를 간절히 기대해본다.
조용진 한국광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 choyj5030@kapi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