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부품 '원전 블랙홀' 전력대란 키운다…

정치권이 모든 원전에 안전점검을 요구하고 나섰다.

감독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도 불량부품이 사용된 원전 외에 나머지 원전의 안전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불량부품 사용이 확인되면 추가 원전정지로 전력난이 심각한 수준에 달할 전망이다.

Photo Image
원전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올 여름 유례없는 전력난이 우려되는가운데 2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국전력거래소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새누리당은 29일 불량부품 사용으로 발생한 일부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중단·지연과 관련해 전국의 모든 원전에 대한 안전점검을 정부에 요구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긴급 당정협의를 갖고 정부에 철저한 재발방지책을 주문했다.

새누리당은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부품을 사용했다가 가동이 중단된 신고리 2호기, 신월성 1호기 이외에 전국의 20여개 원전에 대해서도 실태 파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새누리당의 요구를 적극 검토하는 한편 별도로 원전 안전점검에도 나설 계획이다.

원안위 관계자는 “신고리 3·4호기에 대해서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며 “나머지 원전에 대해서도 조사대상과 방법 등을 결정해 신속히 조사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은철 위원장도 확인된 신고리 1·2호기와 월성 1·2호기 외에도 다른 원자로에서 시험평가서가 조작된 부품이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추가 적발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원전에 대한 대대적 조사가 진행될 예정으로 올 여름 전력 수급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불량부품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 가동이 중단되면서 전력사정은 크게 악화될 전망이다. 당국의 안전점검으로 불량부품 사용 등이 확인되면 추가 원전 정지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3기 원전 가동이 중단되면서 당국의 전력 공급능력은 작년 여름과 비슷한 7700만㎾에 그치게 됐다.

전력거래소는 여름 전력수급 비상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지난해 여름보다 수요관리를 강하게 가져가고 각종 비상조치를 동원할 계획”이라며 “포스코와 SK E&S 등 민간 자가발전기를 추가 가동해 400만㎾ 이상 확보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절대 공급이 줄어든 상황에서 수요가 급증하면 수요관리로는 한계가 있어 순환정전 등 조치가 내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원전 3기가 가동을 멈추면서 입게 될 금전적 피해도 수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한국전력이 전력종합분석시스템(MTAS)을 이용해 원전 정지에 따른 재무영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앞으로 6개월간 원전 3기의 운행이 멈출 때 한전 전력구매비가 2조7억원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100만㎾급 원전 1기가 멈추면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일 42억원의 전력구매비가 더 들어간다. 2기가 멈추면 87억원, 3기가 멈추면 135억원이 더 든다. 특히 단순합계보다 추가 전력구매비가 느는 이유는 여러 원전이 한꺼번에 가동을 멈추면 전력 계통한계가격(SMP)이 늘어나서다. SMP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형성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예상처럼 정지 기간이 6개월이면 전체 구매비는 2조7억원이 들게 된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