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준비 중인 대학생 또는 졸업생 10명 중 6명이 휴학을 하거나 졸업을 미룬 경험이 있고, 10명 중 5명은 졸업하는데 5년 이상 걸렸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가 최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취업을 앞둔 대학생 또는 졸업생 815명을 대상으로 대졸 취업준비자의 취업 스펙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취업 준비 또는 스펙을 쌓기 위해 휴학을 했거나 졸업을 연기했다는 응답이 37.8%였다. 앞으로 그럴 계획이라는 응답이 21.6%를 차지해 전체 응답자의 59.4%가 취업 때문에 대학을 4년만에 졸업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815명)를 기준으로 할 때, 취업이 잘 되지 않아 대학을 졸업하는데 5년 이상 걸리는 학생이 48%(391명)며, 6년 이상 걸리는 학생도 16.3%(133명)나 된다.
스펙과 취업 간 관계에 대해, 스펙이 취업에 `영향 준다`라는 응답이 97.5%에 달했다. 취업을 위해 준비하는 스펙(중복응답)은 토익 등 영어 점수(69.2%)가 가장 많았고 각종 자격증(64.5%), 학점관리(57.8%), 인턴활동(24.9%), 제2외국어(20.0%) 순으로 조사됐다. 영어 점수 취득과 관련해 취업준비생이 가장 많이 준비하는 토익(TOEIC) 목표 점수는 990점 만점에 800점 이상이라는 응답이 70.5%였다. 900점 이상이라는 응답도 24.0%나 됐다.
취업준비생들의 목표 TOEIC 점수는 5급 공채, 사법고시, 공인회계사, 공인노무사 등의 시험 자격요건 점수인 700점과 외무고시, 변리사 시험에서 요구하는 775점 등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한편, 목표 토익 점수를 취득하기 위해 학원수강, 시험 응시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월 평균 29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취업을 위한 해외어학연수 경험 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26.1%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어학연수 기간은 3개월 이내가 33.8%로 가장 많았고 6개월∼1년(27.7%), 1년 이상(19.7%) 등의 순이었다. 이들의 어학연수 총비용은 평균 1423만원이 소요됐다.
취업 선호 기업은 대기업(23.6%), 공기업 또는 공무원(20.1%), 중견기업(14.7%), 중소기업(10.2%), 금융기관(3.7%), 외국계 기업(2.3%) 순으로 나타났다. `어느 기업이든 관계없다`라는 응답도 18.5%에 달했다.
배상근 전경련 본부장은 “취업준비자의 60%정도가 취업이 어려워 4년만에 정상적으로 졸업하지 못한다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60세 정년 연장이 의무화되면 청년 취업난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 취업 준비자의 졸업 소요기간 ] [취업을 위한 스펙 관리 노력]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