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을 둘러싼 한전과 주민과의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한전을 비롯한 관계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당장 이번 달부터 선로공사에 착공하지 못하면 신고리 3호기 완공에 맞춘 송전선 건설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31일 한전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조경태 의원의 주선으로 한전과 송전탑 반대대책위 주민대표 간에 가진 3차 간담회가 이렇다 할 성과 없이 끝났다. 양 측은 오는 9일 네 번째 대화를 시도한다.
한전 관계자는 “지중화를 비롯해 주민 측의 기존 주장만 확인했다”며 “세 차례 시도한 대화는 답보상태”라고 말했다.
한전은 조속히 공사를 재개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다며 공사재개 가능성을 내비췄다. 한전은 신고리 3호기가 오는 12월 준공되고 송전선로 작업 최소 공기가 8개월이 소요되는 만큼 늦어도 이달 안에 공사를 시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송전선로의 운영·계통을 담당하는 전력거래소는 신고리 3호기 시운전 기간 동안 345㎸ 선로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주준영 전력거래소 계통기술팀장은 “7월 말부터 시작되는 시운전 동안에는 발전기 출력이 낮다”며 “345㎸ 선로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에 대한 기술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준공 후 상업운전 시 다른 선로로 우회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결정된 사항이 없다.
주 팀장은 “한전으로부터 765㎸ 선로작업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전달받은 게 없다”며 “선로작업 지연 등 일정변경이 불가피하면 대안 검토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거래소는 원전을 건설하는 한수원도 최근 안정성을 강화하는 추세로 준공 일정이 늦춰지는 가변적 상황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송전탑 반대대책위 주민대표는 송전탑 백지화, 원전 포기, 송전선로 지중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