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비이자 수익을 개선해야 산다" 금융硏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은행의 경영난 대응 5대 전략

지난해 외환위기(IMF) 이후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국내 시중은행. 올해 역시 딱히 개선될 기미가 없다. 그렇다면 이 난관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우선 살 길은 비(非)이자 수익을 올려야 한다. 또 상품과 상품, 상품과 서비스를 연계한 이른바 트랜젝션 뱅킹 서비스로 차별화된 선택을 받아야 한다.

한국금융연구원은 `국내 은행의 어려운 영업환경과 대응전략`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해법을 제시했다.

연구원이 먼저 주목한 대목은 은행의 비이자 수익 개선이다. 은행 이익의 대부분은 이자 수익이다. 그런데 대기업은 대출을 안 해가고, 중소기업 대출은 리스크 높은 운전자금 수요가 대부분이다. 악성 가계대출 역시 회수가 어렵긴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비이자 이익을 개선하는 방법 밖에 없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이병윤 선임연구원은 “비이자 수익 중 원화수수료는 현재 사회 분위기상 올리기 어렵고, 방카슈랑스 수수료 역시 비과세 폐지로 획기적 개선이 어렵다”며 “결국 은행들은 펀드와 외환수수료 개선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실 털기`도 강력한 수익 개선의 일환이다. 가장 쉽고 편한 방법은 부실차주로부터 채권회수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좀 더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불안한 채무자에겐 즉시 담보권을 행사하는 게 당연해 뵈지만 자칫 `비 오는데 우산 뺏는 격`이 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일시적 유동성 지원이나 인수합병(M&A) 유도 등을 통해 해당 기업을 살려나가면서 좀 더 이익을 낼 수 있는지 등을 따져봐야 한다. 이게 가능하려면 은행 내에 이를 뒷받침해주는 `인센티브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또 다른 수익구조 개선 방안은 `비용절감`이다. 은행 비용의 가장 큰 비중은 단연 `인건비`다. 하지만 인적 구조조정으로 단숨에 인건비를 줄이는건 노조 등의 반발로 어렵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무작정 지점들을 폐쇄하는 것 역시 전략적 접근이 아니다.

따라서 고객접점에 최적화된 `채널 포트폴리오`를 찾아 비용을 절감하는 전략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충고했다. 이밖에도 연구원은 새 먹거리 창출, 해외시장 개척 등을 은행의 대응전략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시장은 포화 상태고 은행 간 경쟁도 치열해 수익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묘책 찾기가 쉽지않을 것”이라며 “작은 전략의 변화와 행내 소프트웨어적 개혁으로 조금씩 수익성을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은행의 경영난 대응 5대 전략

"은행, 비이자 수익을 개선해야 산다" 금융硏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