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경기심리에도 새 봄이 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29일 내놓은 `2013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제조업의 1월 업황 B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오른 70으로 나타났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301/386068_20130129142849_429_0001.jpg)
이는 지난해 1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개선된 것이다. 상승세가 연달아 이어진 것은 작년 1~4월 이후 처음이다.
BSI는 100을 넘으면 경기를 밝게 전망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100을 밑돌면 그 반대다.
이성호 한은 기업통계팀 차장은 “실물이 나아졌을 수도 있고 막연한 기대감일 수도 있다”며 “이는 1월 지표가 나와 봐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업황 BSI가 74로 넉달 연속 증가했다. 중소기업도 66으로 전월보다 3포인트 올랐다.
수출·내수로 구분하면 수출기업 업황 BSI가 72로 1포인트, 내수기업이 69로 3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제조업체의 매출 전망인 매출 BSI는 80으로 전월보다 2포인트 개선됐다. 생산량 증감 척도인 생산 BSI는 85로 3포인트 올랐고 설비투자 증감을 나타내는 설비투자실행 BSI도 90에서 94로 뛰었다.
제조업체의 경영 고충으로는 내수부진(22.9%)이 전월(25.0%)에 이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외환시장 불안으로 환율을 꼽은 답변도 전월의 8.8%에서 13.1%로 대폭 늘었다.
이 차장은 “환율이 10%를 넘은 것은 생각보다 큰 숫자”라고 분석했다.
2월 업황전망 BSI는 72로 이달보다 더 나아질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소기업과 내수기업 호전이 예측됐다.
비제조업의 이달 업황 BSI는 68로 전월과 같았다. 2월 업황전망 BSI는 70으로 나타났다.
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는 1월 전월보다 3포인트 오른 91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8월(91) 이후 가장 높은 값이다.
그러나 계절·불규칙 요인을 제거한 순환변동치로는 전월 91에서 이달 90으로 오히려 1포인트 하락했다고 한은은 밝혔다.
제조업 업황BSI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