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만이 능사 아냐

전기자동차 보급을 활성화하려고 전국 곳곳에 설치한 전기차 충전인프라가 제구실을 못한다는 소식이다. 충전기를 설치한 기관이 다르면 사용자카드를 쓸 수 없다는 것이다. 전기차 충전인프라는 지식경제부와 환경부 등 중앙정부와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하고 있지만 호환이 되지 않아 활용도가 낮다는 지적이다. 제주 스마트그리드 홍보관에서 스마트카드만 있으면 전기차를 충전해서 편리하게 쓸 수 있다고 설명한 것과는 거리가 있다.

전기차는 배터리 저장용량 때문에 한 번 충전해서 운행하는 거리가 짧아 자주 충전해야 하지만 충전소 찾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아직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된 곳이 전국을 통틀어 1000여곳에 불과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어렵게 충전소를 찾아가도 충전하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다. 전기차 충전기는 대부분 공공기관 주차장이나 건물 내부에 있어 출입하기가 힘들다. 해당 기관 근무시간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정부는 충전기 보급 사업 활성화 차원에서 내비게이션에 충전소 위치를 등록하도록 했지만 위치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곳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지경부가 전개 중인 카셰어링 차량은 지정된 충전소 열 곳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환경부나 서울시가 설치한 충전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시내 주행에 제약이 있는 저속전기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기차 보급이 충전기 호환 문제로 제동이 걸린 셈이다. 이대로 라면 전기차 충전기가 보급되더라도 비난만 쇄도할 뿐이다. 귀가 따갑도록 듣는 전시행정이라는 말이 전기차 보급 사업에도 어김없이 들린다.

전기차 충전기는 스마트그리드 정책을 홍보하는 데 활용하려고 설치한 것은 아닐 것이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문제점을 면밀히 파악해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 애초에 발표한 만큼 충전기가 설치되지 못한 원인도 분석해서 설치 대수를 늘려 나가야 할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