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노동정책 변화 오나

문재인 후보가 17일 일자리 간담회에서 노사 간 고통분담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 앞으로 민주당의 노동정책 변화 기류를 예고했다.

문 후보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기업도 어느 정도 부담을 나누면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대책도 필요하고, 노측도 하고 싶은 것 다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자리만 좋게 해달라, 늘려달라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업계 의견 청취 후 마무리 발언에서도 “일자리 나누기를 한다면 기존 임금보다 떨어져서는 안 되겠지만 대신에 신규 임금 인상이라도 자제를 해준다든지 활발한 대화와 노·사·정 간 사회적 대타협, 사회협약을 체결하는 단계까지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의 발언은 노동자 중심의 민주당 기업과 노동 정책이 기업까지 아우르는 형태로 전향적으로 바뀔 수 있음을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동계뿐만 아니라 기업의 목소리도 듣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기 때문이다. 문 후보는 실제로 현재 논의되는 일자리 정책이 기업 경영에 부담이 될 수 있음을 인정했다.

문 후보는 “일자리 방안을 보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노동시간 축소, 기업의 일자리와 청년 고용 확대 등의 주문을 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게 되면 결국은 기업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게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문 후보가 기업과 노동계에 고통분담을 화두로 던져 노동정책의 새로운 청사진을 새로 그리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문 후보의 발언은 단지 기업과 노동자 측이 함께 협력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얘기”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