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의류패션 융합 정보기술(IT) 12건이 대거 국제표준안으로 제안됐다.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표준화 기술위원회에서 우리가 제안한 신규 표준안을 중점 논의, 가시적인 성과도 기대된다.

기술표준원은 17일부터 서울 포스트타워에서 열리는 패션의류 분야 국제표준화 기술위원회에서 우리나라 의류패션 융합IT 12건을 신규 국제표준안으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표준화기구 의류치수체계 및 명칭(ISO TC133) 제8차 총회는 의류치수 표시방법을 두고 각국이 치열한 주도권 다툼을 벌이는 가운데 우리가 제안한 12종을 중점 논의할 예정이다. 우리 기술이 차세대 섬유패션 분야에서 국제표준화를 주도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최근 섬유패션산업은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유통채널이 다양화한데다 소비자 중심형 맞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유비쿼터스 의류패션시대를 맞았다.
이런 변화로 의류치수체계 국제표준화, 3차원(D) 가상디지털 의류패션 및 가상 인체 형상 정보에 대한 표준화 중요성이 높아져 관련 표준화 논의가 빠르게 진행된다.
최미애 기술표준원 문화서비스표준과장은 “이번 회의로 IT와 의류패션을 융합한 국내 기술을 국제표준화해 의류패션산업의 세계시장 진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기술표준원은 앞으로도 표준화가 필요한 의류패션 분야의 융합 IT를 지속적으로 발굴, 국제표준화로 연계함으로써 세계 의류패션시장을 주도해갈 방침이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