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열 냉·난방시스템의 신재생에너지 편입 여부를 앞두고 삼성전자, LG전자 등 시스템에어컨(EHP)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결과에 따라 전력피크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는 EHP의 위상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열 냉·난방시스템은 대기 중의 공기를 열원으로 활용, 열을 생산·공급하는 장치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난방비가 온풍난방기에 비해 70~80% 절감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지식경제부는 공기열의 신재생에너지원 포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지경부는 공기열의 신재생에너지원 포함 여부를 판단할 근거로 공기열을 이용하는 냉난방기기의 효율(COP)을 측정하는 용역을 지난해 말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 발주했다. 산업기술시험연구원은 온도차에 따라 COP 변화가 심한 냉난방기기를 현장에 설치, 1년여에 걸쳐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효율을 검증해왔다. 현재 COP 검증은 끝난 상태로 칼자루는 지경부로 넘어 온 상황이다.
업계는 자체 검증 등 해외국가 사례를 근거로 COP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정부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공기열을 이용하는 EHP 보급이 전력피크의 주범으로 몰려 시장 확대가 어려운 상황에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 전력난이라는 외부 요인에 신재생에너지 편입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뒤섞인 상황이다.
최근 지경부는 EHP를 고효율기자재품목에서 제외하고 공공건물 도입을 제한하는 등 보급 억제정책을 펼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일본 등 대다수 국가에서 공기열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지정해 보급을 장려하는 상황”이라며 “공기열이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편입되면 EHP 등 기기에 대한 오해를 해소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칼자루를 쥐고 있는 지경부는 전력난을 무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COP 성능이 우수해도 극심한 전력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공기열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포함시킬 경우, EHP 사용이 늘어나 전력난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공기열원의 신재생에너지원 포함 문제는 단순히 효율만으로 생각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용역이 끝나는 9월 이후 최종 결정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