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 시행으로 연료전지 발전사업자가 진퇴양난의 상황에 처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운영 중인 사업자들이 기존에 적용받던 발전차액지원제(FIT)를 포기하고 RPS로 전환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동서발전이 일산의 2.4㎿, 2.8㎿ 규모 연료전지를 최근 RPS로 전환했으며 코발트스카이 등 민간 사업자도 RPS 전환을 검토 중이다.
새로운 제도에 적극 대응한다는 게 표면적 이유지만 속내는 LNG 가격 상승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되는 FIT를 포기한다는 게 전문가 중론이다. FIT는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 전기의 거래 가격이 정부 고시 기준가격보다 낮을 때 차액을 고정 가격으로 지원하는 제도다. 연료전지는 ㎾h당 274.06원(바이오가스를 이용하지 않을 때)을 15년간 받게 된다. 결국 지원액 변동이 없는 상황에서 연료전지의 연료로 사용하는 LNG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기 때문에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LNG 가격이 앞으로 얼마나 오를지 모르기 때문에 연료전지 발전사업자 입장에서는 보상비용이 고정된 FIT 적용은 위험부담이 크다”며 “반면에 RPS는 연료비 변동을 반영하기 때문에 안정적 수익이 보장되는 FIT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빠르면 이달 중 정부의 REC 물량이 시장에 풀릴 예정이어서 연료전지 발전사업자 RPS 전환도 애를 먹고 있다. 정부 물량이 지금의 현물거래 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시장에 나오면 REC를 판매해야 하는 발전사업자는 그만큼 가격경쟁력이 줄기 때문이다.
정부는 REC 수요·공급 불균형으로 거래 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할 때를 대비해 과거 FIT 운영 시 정부가 사들인 REC 물량을 투입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식경제부는 REC 거래시장 안정을 위해 빠르면 이달 중 올해 1, 2분기 분 REC 물량(비 태양광)을 시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익명을 요구한 연료전지 발전사 관계자는 “정부 REC가 지금 거래되는 현물가격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시장에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REC를 팔아야 하는 민간 업체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미 비싸게 REC를 구입한 공급의무자도 결국 손해를 보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