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물을 식수로 만드는 해수담수화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UN은 지난해 미래보고서에서 2025년 세계 인구 절반이상이 물이 부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보고서는 석유생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다가 특정시점을 정점으로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인 `피크오일`과 유사한 `피크워터` 개념을 소개하며 2025년에는 재생가능 수자원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물부족 사태를 맞이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래서 `해수담수화` 산업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구표면 약 71%가 물이다. 하지만 그 중 담수는 약 2.5% 정도며 그나마 담수의 대부분은 남·북극해의 빙하와 눈의 형태, 또한 개발이 불가능한 깊은 지하의 대수층이다. 즉 강·호수·지하수 등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담수의 양은 전체 담수의 1%이자 지구상 물의 0.01%인 20만㎦에 지나지 않는다. 더구나 인구증가 및 산업발달로 물 사용량 증가와 오염지역 확대로 저소득 국가에서는 벌써부터 심각하게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인구대비 상대적으로 담수 보유 비율이 낮은 나라에 속한다. 다만 전국적인 수자원시설 확보 등으로 그나마 안전한 물을 마실 수 있는 나라다. 수자원 확보 비율을 보면 세계에서 하위권에 있는 것을 대부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이런 나라에서 삼면이 바다인 점을 활용해 해수담수화 사업과 기술력 확보에 힘써야 되는 것은 어쩌면 후대를 위한 과제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