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이디엄] <91> 현시창

가슴속에 품은 높은 꿈과 이상에 대비되는 열악한 현실을 뜻하는 말.

`현실은 시궁창`의 준말이다. 래퍼 에미넴이 주연한 영화 `8마일`에 등장한 `꿈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이야`라는 대사에서 유래했다. 이 대사가 자막으로 붙은 영화 캡처 화면이 인터넷에 유행하면서 널리 퍼졌다. 전체 대사를 줄여 `꿈높현시`라고도 한다.

이 표현은 갈 곳 잃은 현대 젊은이의 좌절과 체념을 적절하게 표현해 큰 반향을 얻었다. 꿈도 많고 이루고 싶은 것, 하고 싶은 일도 많지만 꿈을 이루기는 힘들고 앞에 놓인 현실은 보잘것없다는 대조와 격차가 `현시창`의 묘미다.

우리 부모 세대는 열악한 현실 속에서 꿈의 크기마저 제한되는 삶을 살면서도 사회가 급성장하면서 기대 이상으로 성장하는 사례가 많았다. 반면에 자녀 세대는 유례없는 풍요 속에 살지만 꿈을 이뤄가기엔 사회의 꽉 짜인 틀이 무겁게 느껴진다. 격심한 스펙 경쟁을 겪지만, 이 경쟁에서 살아남아도 크게 나아질 것이 있는지조차 의문이 든다.

`현시창`은 풍요로운 삶 속에서도 `루저 의식`을 느끼는 젊은이들의 마음을 잘 표현했다는 평을 듣는다.


대부분의 다른 인터넷 이디엄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에 널리 퍼지면서 의미가 확장되기도 했다. 단순히 좋지 않은 상황, 자기 맘에 안 드는 꼴사나운 현상을 일컫는 말로도 쓰인다.

수험생들은 수능 준비 커뮤니티 등에 모여 일류대에 진학하고 싶은 희망과 장래 꿈을 늘어놓다가, 자기 성적을 상기하며 `꿈은 높은데 현실은 시궁창이네요`라고 마무리하곤 한다. 네티즌들은 앞다퉈 `현시창`이란 댓글을 달며 화답한다.

총선을 앞두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모여 `MB 심판의 날이 다가왔다`고 믿으며 개념글을 리트윗하던 이른바 진보 세력은 붉게 물든 전국 지도를 `현시창`으로 받아들였을 수도 있다.

*생활 속 한마디

A:회장님이 할리우드 진출을 목표로 480인조 걸그룹을 조직했어요.

B:그런데 요즘 고속버스 휴게소에서 공연하죠. 현실은 시궁창이네요.


hah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