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RPS, 무엇이 문제인가

정부 해상풍력 사업, RPS 대안 될까

발전사들이 유망한 RPS 대응책으로 여기는 사업은 단연 해상풍력이다. 기존 육상풍력보다 발전효율·인허가 획득 면에서 유리한데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도 가장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서남해에 건설 예정인 2.5GW 규모 사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

정부는 지난 2010년 해상풍력로드맵을 발표한 데 이어 1년 만인 지난해 종합추진계획을 내놨다. 전북 부안군 해상에 2020년까지 10조2000억원을 투입해 2.5GW급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한다는 내용이다.

1단계로 2014년까지 100㎿ 규모 실증단지를 건설한 후 2016년 이를 500㎿로 늘리고, 2019년까지 2GW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정부가 연구개발(R&D)을 위해 29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한국전력과 6개 발전사가 특수목적법인(가칭 서남해 해상풍력발전주식회사)을 설립해 사업을 주도한다.

규모가 큰 만큼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되면 발전사 RPS 대응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사업 시작 전부터 `실현 가능성`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은 `촉박한 시간`이다. 2014년 실증단지 건설을 위해서는 우선 대형 풍력발전기 개발이 완료돼야 하지만, 두산중공업(3㎿급)을 제외한 나머지 7개 업체들은 아직 제품을 내놓지 못한 상황이다. 사실상 올해 해상풍력발전기 개발을 완료하는 기업은 8개 터빈업체 중 절반에 불과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풍력업계 한 관계자는 “터빈업체들이 5~7㎿급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다들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 믿을만한 제품을 개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목표 달성을 위해 일부는 외국 기술을 들여올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국산화`라는 의미는 퇴색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개발을 완료해도 인증획득이라는 장애물이 남는다. 100㎿급 실증단지 건설을 위해 각 터빈업체들은 GL·데비오씨씨·DNV 등의 국제인증을 획득해야 한다. 하지만 인증 획득에 보통 1년 이상 걸리고, 인증업체 사정에 의한 변수가 많다는 점에서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하다.

정부의 투자규모가 너무 작아 사업추진 동력이 떨어진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2.5GW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에 소요되는 10조2000억원 중 정부가 밝힌 투자규모는 0.28%(R&D 부문 290억원)에 불과해 한전과 발전사, 터빈·건설업체의 투자 위험부담이 너무 크다는 설명이다.

터빈업체 한 관계자는 “막상 사업을 시작하려고 봤더니 서해 풍황이 생각보다 좋지 않고 정부 투자도 너무 부족하다는 불만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며 “정부 사업 외에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해상풍력 사업의 경우 효과적인 RPS 대응을 위해 이미 검증된 외국제품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터빈업체로서는 걱정거리”라고 말했다.


정부의 서남해 해상풍력 개발 계획

자료:지식경제부


유선일기자 ysi@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