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MBC(본사)·SBS 지상파방송사 3사의 올해 방송사업 매출액 중 재송신 대가, 주문형비디오(VoD) 판매를 포함한 프로그램판매수익(매출액)이 10%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부터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지상파 방송사에 재송신 대가를 제공하는 데다 주문형비디오(VoD) 이용 건수가 매년 두 배 이상씩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방송 업계 매출 구성 내용을 종합해보면 올해 지상파 3사 방송사업 수익 중 프로그램판매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11%까지 상승, 10%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사 매출액은 방송사업수익, 방송사업 외 수익으로 나눠진다. 방송사업수익은 광고, 협찬, 프로그램판매, 기타(간점광고 등) 수익이다. 프로그램판매수익은 SO·IPTV·위성방송 재송신 대가, 홈초이스 등에 제공하는 VoD 판권료, ‘푹(pooq)’ ‘K플레이어’ 등 N스크린서비스 VoD 판매액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지난해 말 발간한 방송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10년 3사 매출액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방송사업수익은 3사 합쳐 2조8053억5447만원이다. 이 중 방송프로그램판매수익은 2146억3031만원으로 7.79%에 불과했다. 지난해 VoD 매출 증가 외에 다른 프로그램판매매출액 증가 요인이 없다는 걸 감안하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SO로부터 재송신 대가 약 650억원이 추가돼 큰 폭으로 늘어난다. 이는 CJ헬로비전과 지상파 3사가 계약한 가입자당 과금(CPS)을 약 150억원이라 봤을 때 나오는 수치다. 업계에서는 SO와 지상파 간 CPS를 100~200원 사이값에서 결정한 것으로 추정한다. 지난 2009년부터 기산해 디지털 케이블 가입자 수를 곱하면 649억2432만원 가량이다.
VoD 판매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케이블TV VoD 서비스 홈초이스 매출액 중 지상파에 제공한 판권료는 각 사당 약 60억원으로 3사 합쳐 170억원 가까운 매출을 올렸다. IPTV VoD 서비스 역시 지상파 판권료가 증가하고 있다. N스크린 서비스 VoD 판매액까지 포함하면 2011년 지상파 3사가 거둬들인 VoD 서비스 매출액은 약 270억원으로 추정된다. 김윤경 키움증권 책임연구원은 “올해는 VoD 등 콘텐츠 판매 매출액이 지난해에 비해 두 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이종관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은 “지상파 방송사가 광고 비중을 줄이고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면서 광고 수익 비중은 줄고 프로그램판매 수익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오은지기자 onz@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