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액티브X' 적용 실태조사…사용자제 유도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사이트들이 비표준 기술인 `액티브X(ActiveX)` 사용을 자제하도록 정기적으로 사용 실태를 조사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방통위는 `2012년도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 추진방안`에 따라 올해부터 분기별로 금융기관, 포털, 쇼핑 등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주요 100대 웹사이트의 액티브X 사용실태를 조사해 그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액티브X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서만 동작하는 비표준 기술이기 때문에 다른 브라우저나 모바일·HTML5 환경 등에서 구동되지 않아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있으며, 악성코드의 유통경로로도 악용되고 있다.

방통위는 조사대상을 주요 100대 사이트에서 점차 공공기관 전체(285개)로 확대하고, 웹 개발자나 웹서비스 제공자가 웹사이트 환경을 개선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 진단 시스템`도 제공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또 작년부터 국내 주요 포털사와 함께 진행한 `브라우저 업그레이드 캠페인`을 올해에는 공공부문, 금융권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캠페인은 MS가 2001년 출시한 IE6의 이용률을 낮추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IE6는 보안에 취약하고 액티브X 환경을 제공하며, 웹사이트 구축에 큰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방통위는 이 캠페인을 통해 지난해 상반기 약 20%에 달했던 IE6 사용률을 7% 수준으로 낮추고 IE 점유율 자체도 80% 수준으로 떨어뜨렸다.

올해는 포털·게임사와 협력해 IE6 사용률을 5% 이하로 낮추겠다는 방침이다.

홍진배 방통위 인터넷정책과장은 "IE6 자체에도 문제가 있지만, MS의 IE 외에도 크롬, 파이어폭스 등 다양한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자주 업그레이드하자는 취지에서 캠페인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방통위는 웹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차세대 웹 표준기술인 HTML5의 확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먼저 이달 안으로 전문가와 인터넷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HTML5 활성화 전략위원회`를 구성·운영해 HTML5에 대한 홍보, 기술보급, 콘텐츠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