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이나 물건, 현상 등이 재미있고 특이함을 나타내는 표현.
‘보통보다 더 자주 있거나 일어나서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사전적 의미와는 반대의 뜻으로 쓰인다. 보기 드물거나 정도를 벗어나 웃기는 일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역설적 표현이다.
일반적으로 ‘흔한 ○○의 △△’ 혹은 ‘○○의 흔한 △△’라는 식으로 쓰인다. 인터넷에서 재미있는 짤방이나 뉴스를 소개하며 ‘흔한’이란 수식어를 붙여 제목을 달곤 한다.
최근 이탈리아에선 돈을 내놓으라며 총을 들이댔는데도 점원이 전화를 받느라 완전 무시해 버리자 강도가 뻘쭘해져 그냥 가 버린 사건이 화제가 됐다. 이 소식은 ‘흔한 편의점 직원의 패기’라는 제목으로 인터넷에 퍼졌다.
대만의 명물 101층 빌딩 전체 벽면에 결혼 프로포즈 문구를 띄운 사진은 인터넷에서 ‘흔한 대만의 프로포즈’라고 불린다. 평소엔 김치볶음밥만 하다 모처럼 파스타에 연어 스테이크, 와인까지 곁들인 풀 코스 디너를 차린 주부는 음식 사진을 찍어 ‘우리 집의 흔한 저녁’이란 제목으로 블로그에 올린다.
중국이나 일본의 재미있는 풍경이나 문물은 ‘대륙의 흔한 ○○’ ‘열도의 흔한 ○○’라고 불린다.
드물게는 사람들 사이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나 특성을 잡아 재치있게 표현할 때 쓰이기도 한다. ‘여자가 자기를 쳐다보면 자기한테 관심 있는 줄 안다’는 것은 ‘남자의 흔한 착각’, ‘친구들 중에선 자기가 제일 예쁘다고 생각하는 것’은 ‘여자의 흔한 착각’이라 하겠다. 이런 경우 ‘흔한’은 본래 사전적 의미와 유사하게 쓰인 셈이다.
이 표현은 ‘흔한 ○○의 △△’ 형태로 고정돼 쓰인다. ‘흔하다’ ‘흔하게’ 등 다른 품사로 쓰이는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다른 형태로 쓰이면 그 의미와 맛을 살리기도 힘들다.
* 생활 속 한마디
A: 대마그룹 김갑 실장은 20세에 과장으로 입사해 3년 만에 실장을 거쳐 이번에 부사장 승진했네요.
B: 재벌가의 흔한 능력자네요. 부친인 회장님을 워낙 잘 모시니까요.
한세희기자 h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