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201/227681_20111230153914_715_0001.jpg)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회의(APEC)가 2012년 의제를 창업으로 잡았다. 대한민국은 한 발 앞서 범국가적 창업 활성화 기치를 내걸었다.
바야흐로 스타트업(Start-up) 전성시대다. 세계가 스타트업에 명운을 건 이유는 바로 미래를 봤기 때문이다.
지난 10년간 많은 기술변화가 있었다. 그 결과 창업하고 상품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크게 줄었다. 수십억원의 초기 투자 없이도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 유통할 수도 있다. 여기저기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도전이 넘쳐난다. 흥망 속도도 상상을 불허한다. 과거 10년에 한 번 성공 기업이 나타났다면 이제 1년에도 몇 개씩 출현한다. 6개월~1년씩 걸리던 경쟁자 출현도 불과 며칠이면 족하다.
이런 변화는 정부나 대기업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 창조적 상상력과 창의성으로 무장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적 기술이 필요하다. 스타트업은 단순한 기술 개발이나 일자리 창출 등 현재 이슈가 아니다. 10년, 20년 후 국가의 명운이 걸려있다.
전자신문은 다음과 같은 코너에서 올 한 해 ‘스타트업이 미래다’ 기획을 이끌어갈 계획이다.
△멘토링 지상중계:스타트업 기업이 원하는 성공 벤처기업을 지정해 멘토링을 받고 관계를 이어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스타트업 성공스토리:창의적으로 사업을 이끌고 있는 스타트업 기업의 성공 포인트를 점검, 청년 CEO에게 경영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글로벌에 도전하는 스타트업:창업부터 세계를 겨냥한 기업에서 스타트업 도전의식을 조명한다.
△스타트업 사관학교:대학, 지자체, 정부 등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육성하는 국내기관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국내외 스타트업 동향부터 정책방향과 지원제도 등도 발 빠르게 소개한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이 국가 경제의 미래라는 점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스타트업 기업들이 미래 산업 주역으로 성장하는 데 길잡이 역할을 할 계획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201/227681_20111230153914_715_0002.jpg)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