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CEO들은 인문학이 경영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며 인재 채용 시에도 인문학 소양이 풍부한 사람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SERICEO(www.sericeo.org)’에서 실시한 설문조사(493명 참여) 결과 경영자 대부분인 97.8%가 ‘인문학적 소양이 경영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가장 큰 이유로는 ‘사람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39.6%)이 꼽혔다. 인문학은 인간의 다방면을 다루는 영역으로, 마케팅·인사관리 등의 업무에서는 사람을 잘 이해하는 것이 결국 경영역량의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경영자들은 사람을 배우는 데 인문학이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연구소 측은 분석했다.
두 번째는 ‘경영학 및 공학의 단편적인 지식과 달리 인문학은 종합적인 사고력과 판단력을 길러주기 때문’(30.1%)이다. ‘인문학은 상상력의 원천이므로 창의적 발상을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은 18.3%로 세 번째에 올랐다. 이어 ‘과거의 역사를 통해 흥망성쇠의 지혜를 얻을 수 있기 때문’(10.1%), ‘인문학은 이야기 천국이므로 마케팅에 활용할 만한 소재를 발굴할 수 있기 때문’(1.9%) 순이었다.
CEO들은 인문학 내에서 경영에 가장 많은 도움을 주는 분야로 ‘역사’(43.2%)를 선택했다. 역사는 가정과 추론 등 추상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하는 타 분야와 달리 실제 실현된 인생사들의 집합으로, 현실과 더욱 가깝다는 특징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미시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속마음을 탐구하는 ‘심리’(19.9%)도 경영에 도움을 주는 인문학 분야로 꼽혔다. 그 다음은 ‘철학’(19.5%), ‘예술’(10.4%), ‘문학’(5.8%) 순이었다.
한편 ‘인문학적 소양이 풍부한 사람이라면 인재채용 시 가산점을 주고라도 뽑을 의향이 있나’라는 질문에 82.6%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응답해 인문학에 대한 경영자들의 높은 관심이 실제 경영 현장에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했던 경영자들의 학부전공은 경영학·경제학이 33.9%, 이학·공학은 33.5%였고, 인문학 전공자는 18.3%로 비교적 적었다.
연구소 측은 “전문적인 기술 및 경영지식이 경영자에게 필수지만 조직을 이끌고 복잡한 경쟁 환경을 헤쳐 나가기에는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인문학은 그동안 익숙했던 경영 분야에 비해 ‘통찰과 상상의 기회’가 무궁무진한 영역이라 이 ‘미지의 세계’를 개척해보려는 경영자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했다.
박창규기자 kyu@etnews.co.kr
경제 많이 본 뉴스
-
1
토스, 커머스 인재 대거 흡수…쇼핑·페이 확장
-
2
영풍, 지난해 '역대 최악 실적'…순손실 2633억
-
3
최상목 권한대행 “연내 GPU 1만장…내년 상반기까지 1.8만장 확보 추진”
-
4
천안시, 총 인구수 70만 달성 코앞…작년 7000여명 증가 5년 만에 최대 유입
-
5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 “스마트 충전기와 해외 시장 공략에 '무게' 싣는다”
-
6
[ET라씨로] 버넥트 주가 上… 왜?
-
7
한화손보, 글로벌 부품·반도체사와 연이어 사이버보험 '단독계약' 돌풍
-
8
NH농협은행, 은행권 최초 생성형AI 결합 추천서비스 영업점 적용
-
9
충남연구원, 2025년도 정책연구 본격 추진…전략과제 35건 최종 선정
-
10
[트럼프발 무역전쟁] 직격탄 맞은 자동차…산업계, 해법 찾기 골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