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급등이 올해 가전업계 실적의 최대 변수로 작용한 가운데 국내 전자업계가 지난 10년간 재활용한 전자제품은 수량 기준 3300만대, 총량 기준 75만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희토류 수출 중단 등 각 나라의 자원 무기화 공세에 대한 대응과 녹색성장을 위해서라도 체계적인 자원 재활용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가 도입된 지난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 새 배출된 전자제품의 양은 총 75만2044톤을 기록했다. 재활용 물량 중 냉장고와 세탁기를 한 줄로 세우면 경부고속도로를 10번 왕복할 수 있는 양이다.
송효택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 팀장은 “폐전자제품 재활용으로 에너지 절감은 물론이고 여의도 3분의 1 크기의 면적에 심은 30년생 잣나무가 1년 동안 흡수하는 양과 맞먹는 총 62만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2000년 6월 1일 시행에 들어간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는 생산자 및 수입업체가 제품의 회수와 재활용을 책임지는 제도로, 현재 TV·냉장고 등 10개 품목을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
10대 전자제품 중에서는 냉장고의 재활용이 35만톤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세탁기·컴퓨터·에어컨 순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에 재활용으로 얻은 원자재는 소형자동차 100만대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품목별로는 철이 41만톤으로 가장 많았고, 플라스틱과 비철이 각각 8만톤, 4만톤 생산됐다.
김영기 LG전자 부사장은 “지구촌의 자원난과 자원 민족주의가 심화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부와 판매업체 등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주요 금속자원의 80% 이상은 중국·캐나다·콩고·호주 등 일부 국가에 편중돼 있으며, 최근 들어 광물공급 제한과 고가판매 등의 자원 무기화 전략 강도를 높이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 5년간 주요 부품 및 희귀금속류 가격은 큰 폭으로 인상됐다. 냉장고 부품으로 쓰이는 구리는 357%, 반도체 제조와 디스플레이 코팅에 사용되는 인듐은 350%가량 가격이 인상되면서 제2의 희토류 개연성을 낳고 있다.
김원석기자 stone201@etnews.co.kr
-
김원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