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스마트 대한민국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 사이에 서로에 대한 최고의 평가 중 하나가 바로 `스마트(smart)`인 것 같다. 한때 유행을 탔던 `세련되다(cool)`는 개념에 지적인 의미까지 포함돼 가장 듣고 싶은 평가가 됐다.

개인뿐만 아니다. 기업도, 국가도 심지어 정치인들까지도 요즘 `스마트`에 빠졌다. 스마트한 기업이 돼 새롭게 떠오르는 스마트 시장의 개척자가 되고, 스마트한 정당을 만들어 정권을 재창출하겠다고 각오를 다진다. 정부도 국제사회에서 개발도상국의 이미지를 벗고 G20정상회의를 주최하는 스마트한 의장 국가의 위상을 심기를 원한다.

그러나 스마트는 스스로가 자신에게 붙이는 단어가 아니다. 다른 이가 내리는 평가의 결과물이다.

얼마 전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자문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해외 석학과 전문가들이 한국 사회에 던지는 화두를 담아 `2020 대한민국, 다음 십 년을 상상하라`는 저서를 출간한 적이 있다. 27명의 저자는 하나같이 `스마트 대한민국`을 위해 지난 50년간 우리가 이뤄낸 경제 개발의 기적을 잊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그동안 취했던 제조업, 수출 위주의 부국강병책으로는 아직도 지속되고 있는 양극화의 성장통을 치유할 수도,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도 없다는 지적이었다.

그들이 제안한 공통의 단어들은 △개방 △규제개혁 △소프트파워 충전이었다. 전쟁의 폐허를 딛고 경제를 일으키기 위해 `열심히 일하자` `더 열심히 일하자`를 국정 운영 목표로 내세웠던 단결된 국민정신은 높게 사지만, 이제는 세계를 둘러보며 신진 주자로서 새로운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앞으로 집중할 신산업 분야도 제안했다. 교육, 의료, 이동통신, 법률, 금융, 사회복지 등은 1인당 국민소득이 높은 국가들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주력하는 서비스업종이다.

스마트한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기술의 고도화뿐만 아니라 사회의 구석구석 자리 잡고 있는 낡은 사고, 불합리한 규제, 시장 경쟁의 발목을 잡는 것들을 뿌리 뽑아야 한다. 요즘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공정한 사회`도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사회적 자본 중 하나다.

스마트 대한민국,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과제이자, 후대를 위한 미래 준비다.

경제과학팀 정지연차장 jyju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