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 중, 폐전기 · 전자제품 재활용 협력 다져

중국이 늘어나고 있는 폐전기 · 전자제품 재활용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한 · 중 전기전자폐기물 회수처리 업종의 협력 강화를 요청했다.

7일 한국환경공단 주최로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2010 한 · 중 전기전자폐기물 관리 및 처리기술 세미나`에서 관쓰쉬엔 중국 폐전기 · 전자제품 사업위원회 폐전기관리위원회 비서장은 “1차 `새 것으로 낡은 것 바꾸기` 사업을 통한 재활용율이 60% 수준이었는데, 2차사업으로 확대되면서 더 많은 폐전기전자제품이 수거되고 재활용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며 “한 · 중간 협력을 강화해 양국의 폐전기 · 전자제품 회수처리 업종의 발전을 추진하자”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 세미나장에서는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와 한국환경공단중국사무소, 중국자원종합이용협회폐전기전자관리위원회 간 `전기전자폐기물분야 협력을 위한 실무협의서`를 교환 했다.

관쓰쉬엔 비서장에 따르면 중국에서 지난해부터 실시된 `새 것으로 낡은 것 바꾸기` 정책이 폐전기 · 전자제품 수거 돌풍을 일으키고 있어 그 회수처리업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관쓰쉬엔 비서장은 “지난해까지 중국내 5대 가전제품 생산량이 4억 7300만대에 달했고, 가전의 사용기한이 만료되고 있어 페기물을 처리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했다”며 “이를 위해 새 것으로 낡은 것 바꾸기 제도를 시행해 큰 효과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부터 중국내 9개 시범도시 가전을 대상으로 시작된 이 제도는 올해 2차 사업으로 하북 등 19개 성과 시로 확대 시행됐다.

지난 5월까지 1차 사업을 통해 얻은 성과는 9개 시범도시에서 총 1479만 8000여 대의 낡은 가전을 회수했으며 이는 같은 기간 판매된 새 가전 1409만 3000대를 넘는 물량이다. 또한 회수된 가전의 865만 5000대만 해체, 분리작업을 거쳐 재활용됐다.

이 제도는 크게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대상제품 목록관리와 재정부의 기금 보조제도를 통해 운영된다. 그리고 환경보호부에서 기업자질제도를 통해 이 사업을 수행할 업체를 선정해 할당하고 적절한 교체 수량을 산정하는 업무를 맡는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지난해 12월 중국 북경에서 열린 `한중 전기전자폐기물 자원화 포럼` 이후, 관련 기술, 설비 및 운영 노하우의 교류를 위한 논의의 장 마련하기 위해 준비됐다. 세미나에는 환경부와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자원종합이용협회 및 관련 업체, 공무원 등이 참석해 `전기 · 전자 폐기물 관리 체계`, `전기 · 전자 폐기물 처리기술(설비) 운영 현황` 이라는 주제로 양국간 폐전기 · 전자제품 관리방안에 대해 정보를 교류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