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고용에서 서비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7.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0개국 중 23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6일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의 문제점과 경쟁력 현황`이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서비스업 고용비율은 OECD 평균인 70.5%에 크게 못 미쳐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 수출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 서비스 수출액 순위가 2000년 세계 12위에서 지난해 19위로 하락, 제조업 분야에서 지난해 9위에 이어 올해 상반기 7위를 기록한 것과 대조된다"면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수출순위 차이가 제조업 기준 10대 수출국 가운데 가장 커서 서비스 수출의 경쟁력 제고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서비스업은 1990년부터 최근까지 무역적자 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해 적자 누계액이 1천400억 달러에 육박한다.
특히 지난해 연간 적자규모는 172억 달러로 1990년도 적자액 6억1천만 달러보다 크게 증가해 서비스 분야 수출증대를 통해 고급 일자리를 늘리고 경상수지도 개선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서비스산업별로는 지난해 기준으로 사업서비스 적자액이 157억2천만 달러여서 전체 서비스 적자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여행과 특허도 각각 4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서비스 분야 전체 수출에서 운수, 사업서비스, 여행 등 3개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85.1%에 달해 편중현상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라별 서비스 수출액은 2008년 기준으로 미국이 152억5천만 달러로 전체 26.0%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이 122억7천만 달러, 유럽연합(EU)이 113억1천만 달러, 일본이 91억6천만 달러였다.
EU와 미국에서는 각각 85억7천만 달러와 78억8천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반면 대중국 서비스 무역은 19억9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최용민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서비스 무역은 고용과 경상수지에 큰 영향을 끼치지만 그동안 제조업 위주 발전전략으로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서비스업에 대해 제조업에 준하는 금융 및 조세지원책으로 대외경쟁력을 높이고,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통한 비관세 장벽제거, 해외마케팅 강화,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수입대체와 경쟁력 제고 등을 통해 고급 일자리를 늘리고 국제수지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경제 많이 본 뉴스
-
1
법인 가상자산 투자 풀린다…비영리법인부터 단계적 허용
-
2
토스, 커머스 인재 대거 흡수…쇼핑·페이 확장
-
3
영풍, 지난해 '역대 최악 실적'…순손실 2633억
-
4
[데스크라인]법인 가상자산 투자, 혁신 기회가 되려면
-
5
골드바 품귀현상까지 부른 금값 상승, 金 ETF·실버바 강세로 번졌다
-
6
보조배터리·전자담배 기내 선반 보관 금지…초과 반입시 별도 승인 거쳐야
-
7
충남연구원, 2025년도 정책연구 본격 추진…전략과제 35건 최종 선정
-
8
한화손보, 글로벌 부품·반도체사와 연이어 사이버보험 '단독계약' 돌풍
-
9
유니온커뮤니티 日 NEC에 ODM 공급… 일본 수출 핵심 채널 확보
-
10
[ET라씨로] 코리아써키트, 영업익 흑자전환 기대감에 주가 22%↑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