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G밸리 `수출의 다리` 구하기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에는 `수출의 다리`가 있다.

1호선 철길로 단절된 1단지와 3단지를 연결하는 사실상 유일한 통로다. 과거 1980년대 중반까지 국가 수출의 10%를 차지하던 구로공단 일대에서 수출에 큰 역할을 하는 교각이라 하여 `수출의 다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수출의 다리는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화려하지 않다. 편도 2차선에 불과한 규모로, 시간대와 상관없이 교통체증을 불러온다. 오히려 이 지역 기업인들이 가장 개선해야할 것으로 꼽는 골칫덩이가 돼 버렸다.

수출의 다리는 처음 60년대 편도 1차선이던 것이 지난 1992년 편도 2차선으로 확장된 이후 20년 가까이 큰 정비가 단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다.

실제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 운전을 해보면 수출의 다리 악명에 치를 떤다. 주말 차 없는 시간대에 10분이면 충분히 도착할 거리지만, 평일 오전 11시에 출발하면 45분이나 걸린다. 출퇴근 시간대에 이곳을 이동하려면 엄두가 안 난다.

이 때문에 `철길을 지하화해 도로 활용을 높이자`거나 `수출의 다리를 증축하자` `우회 연결도로를 만들자` 등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수년째 논의만 있을 뿐 실제 개선 조치는 이뤄진 것이 없다. 가장 중요한 재원 마련책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우선 도로나 시설 등 인프라 개선은 광역자치단체인 서울시 소관 업무다. 실제 권한을 갖고 있는 서울시는 작은 변두리 지역에 별 관심이 없다. 광화문광장, 청계천 복개공사 등에 비해 눈에 뜨이는 번듯한 시설물도 아니다. 특히 다리 건너 바로 광명시와 연결되기에 경기도와의 업무협조도 필요하다.

수출의 다리 개선문제는 동네 민원 수준이 아니다. G밸리는 1만개 기업, 12만명이 넘게 일하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대 IT벤처밀집단지다. 지난 10년 전과 비교해 기업체 수는 500여개에서 1만개로 늘었다. 종사자 수도 3만명 수준에서 4배 이상 늘어 13만명 가까이 된다. 4개뿐이던 아파트형공장은 100개에 달한다. 그 위상이 커진 만큼 서울시의 예산 배정도 우선되어야 한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물론,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 등의 중앙부처도 수출의 다리 문제를 함께 논의했으면 한다. 지경부는 기업 활동을 최일선에서 관할하는 부처다. 산업단지의 관리, 감독 권한도 갖고 있다. 직접적인 예산배정은 못하더라도 산업단지와 1만개 기업체의 인프라 개선이라는 차원에서 개선안을 도출할 책임이 지경부에 있다. 국토부 역시 `비즈니스 프렌들리`라는 입장에서 수출의 다리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MB가 말한 `전봇대`는 멀리 지방에만 있는 게 아니다. G밸리 수출의 다리 역시 `전봇대`가 된지 오래다. 다만 공무원들 눈에 수출의 다리가 `전봇대`로 보이지 않을 뿐이다.

최근 입주기업 경영자협의회를 중심으로 관내 구청, 한국산업단지공단 등이 수출의 다리 개선을 위한 본격 협의를 시작했다고 한다. 이번에는 문제점 확인에만 그쳐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개선안을 검토하고 실행에 옮길 기관들의 책임 있는 자세가 중요할 것이다. 간만에 G밸리 `전봇대` 하나 뽑아보자.

G밸리팀장 김승규 se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