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신용등급 여전히 ‘저평가’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G20 회원국 국가신용등급 현황

G20정상회의 개최로 국가 브랜드가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은 여전히 저평가 받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들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중위권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에서는 중하위권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기획재정부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3대 국제신용평가사들이 매긴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은 5월말 기준으로 G20 회원국 중 10∼11위, OECD 회원국 가운데는 22∼23위였다.

무디스는 G20 중에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호주, 캐나다가 최고등급인 Aaa를 줬고 이어 일본과 이탈리아는 Aa2로 7위권을 기록했다. 반면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Aa3)보다도 낮은 A1으로 중국과 함께 10위를 기록했다.

S&P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에 AAA라는 최고등급을 부여했으며 일본(AA), 사우디아라비아(AA-), 중국·이탈리아(A+), 한국(A) 순이었다.

피치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가 AAA, 호주가 AA+이었으며 일본(AA), 사우디아라비아·이탈리아(AA-), 한국·중국(A+)이 뒤를 이었다.

OECD 회원국 기준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국제신평사로부터 동유럽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받고 있다. 무디스는 최근 남유럽발 재정위기와 관련된 스페인에 Aaa라는 최고등급을 부여한 반면에 한국은 아일랜드·벨기에(Aa1)에 이어 칠레,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A1으로 평가했다. 이는 OECD에서 22번째로 높은 것이다.

S&P는 칠레, 이탈리아, 슬로바키아를 A+로 평가한 가운데 한국은 체코와 함께 A로 분류했으며, 피치는 아일랜드·이탈리아·포르투갈(AA-)에 이어 체코, 슬로바키아와 함께 A+을 받아 역시 22위였다.

국제신평사들의 한국에 대한 상대적인 저평가는 대북리스크의 영향과 아시아국가보다는 유럽 또는 미주 국가에 후한 신평사의 특성도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윤선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북한 리스크가 신용등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다 국제신평사들이 대부분 영미 계열이다 보니 유럽의 전통적인 선진국에 비해 관심을 덜 받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아일랜드와 포르투갈 등 이른바 PIIGS 국가는 유로화 사용국이므로 재정위기 우려가 있어도 유럽연합(EU) 차원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신용평가에 반영되고 있다”며 “포르투갈과 스페인도 재정문제가 지난해부터 불거지고 있지만 유럽국가는 신용등급 하향이 신속히 이뤄지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국제신평사들이 아시아, 특히 한국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쉬울 때가 많다”며 “우리 같은 개방경제에서는 국가신용등급이 매우 중요하므로 신평사를 대상으로 우리의 상황을 적극 설명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