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도로교통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코드라이브(Eco-Drive)’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에코드라이브 활성화 계획이 원활히 추진되면 2020년 기준 연간 온실가스를 389만t 감축하고, 6조6000억원에 달하는 사회경제적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코드라이브는 적정 속도(60~80㎞) 유지, 급출발·급제동 자제, 공회전 방지차량 중량 최소화, 적정 타이어 공기업 유지 등을 통해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는 경제운전을 의미한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교통 소통이 원활한 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급가속을 줄이고 느긋하게 운전(가속을 자주 하지 않거나 가속을 급하게 하지 않음)하는 것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실제로 급가속 정도와 빈도를 20% 줄이면 이산화탄소 3.5㎏, 연료 1.3ℓ가 절약된다.
내년부터 전국 주요 도시와 간선도로 등에 ‘에코드라이브 시범도로’가 운영된다.
시범도로에는 급발진 등 운전자의 운전행태와 연료소모 등을 자동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설치, 운전자가 전광판 등을 통해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에코드라이브 가상체험을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는 버스 터미널과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시뮬레이터가 설치되고 홍보관도 운영된다.
무엇보다 국토부는 내달부터 경북 상주에 위치한 교통안전공단 체험센터에서 사업용 자동차 운전자와 운전강사, 관공서 및 기업체 운전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에코드라이브 체험과 이론교육을 시행하기로 했다.
또 내년부터 버스와 택시·화물자동차 등 자동차 운행을 많이 하는 운수업체를 대상으로 에코드라이브 관리시스템을 개발해서 보급하고, 표준화된 에코드라이브 장비에 대한 안전기준을 마련해 인증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내달 공공기관과 운수업체·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에코드라이브 실천 선포식’과 협약 체결 등을 추진하고 참여하는 운수업체에는 친환경장비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kr
-
함봉균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