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시대, 바른 커뮤니케이션 리더로"

Photo Image

 “비가 오기 전에 둥지 문을 닫는다는 미우주무(未雨綢繆)는 뉴미디어 시대에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가야할 길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변화에 앞서 준비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비전을 수립하고 건강한 방송통신, 바른 커뮤니케이션 리더로 거듭나겠습니다.”

 14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두 돌을 맞았다. 심의위는 탄생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처음 조직이 합쳐졌을 당시 방송과 통신은 태생과 역사가 다른 만큼 규제 철학과 심의제도가 너무 달랐기 때문이다. 방송은 시청률 경쟁의 노예가 돼 ‘막장드라마’를 쏟아냈고 통신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불법·유해정보 유통 루트가 너무 많았다. 이런 현실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방통융합과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대비해야 하는 등 오히려 숙제가 더 늘었다.

 이진강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은 최근 ‘건강한 방송통신, 바른 커뮤니케이션 리더’를 비전으로 정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 2년은 갓 태어난 조직으로서 통합과 조화를 향한 안정적 심의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했다”고 회고한 뒤 “즐겁고 유익하고 배움이 있고 편리한 방송통신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부터 시작해 비전을 수립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심의위원회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4대 전략목표와 12대 과제도 선정했다. 4대 전략목표는 △방송통신 융합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 △심의체계 개선을 통한 신뢰성 및 전문성 제고 △방송통신 콘텐츠의 품격과 건전성 제고 △시청자 및 이용자 권익강화를 위한 참여와 소통 확대다.

 방통심의위는 이 목표에 따라 다양한 세부 과제를 만들었다. 우선 융합환경에 부응하는 법·제도를 정비하고 심의정책에 대한 연구기반도 조성한다. 관련 학계 공동연구 확대를 위해서는 (가칭)방송통신콘텐츠 포럼도 만들 예정이다. 심의전문성을 강화하고 합리적인 심의기준을 정립하는 것도 새 과제 중 하나다. 우수 콘텐츠 유통을 활성화하고 불법유해정보 유통을 방지하는 것도 지속적으로 위원회가 해야할 역할이다. 무엇보다 유해 콘텐츠로부터 어린이와 청소년을 보호하고 피해를 구제하는 활동도 강화해야 한다.

 이 위원장은 “뉴미디어 등장과 경쟁심화로 인한 선정적 방송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무선인터넷 이용도 확대되고 있어 이에 걸맞은 심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다만 이 같은 규제는 건전한 많은 정보의 유통을 전제로 하는 것이지 진입장벽을 만드는 것과 같은 산업발전에 저해하는 규제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