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4/100421075733_386569442_b.jpg)
‘디자인 하우스에서 시작해 로컬 브랜드로 진화하는 샨자이지’.
OPPO·BBK·지오니·K터치·아홍은 자체 브랜드를 가진 중국 로컬 휴대폰 업체 ‘빅 5’로 불린다. 이들은 중국 소비자에게 친근함을 무기로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빅5 중 일부 기업은 샨자이지부터 시작해 브랜드 기업으로 거듭나 ‘성공신화’를 쓰고 있다. 지금도 수 많은 샨자이지 업체들은 자체 브랜드를 꿈꾸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신흥시장으로 샨자이지 제품이 점점 더 많이 흘러들어 가면서 글로벌 휴대폰 업체들도 대응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샨자이지의 ‘요람’ 디자인 하우스=300여개에 달하는 주요 샨자이지 업체들 중 대부분은 디자인 하우스부터 시작해 성장했다. 디자인 하우스는 휴대폰 주기판에 칩·안테나·카메라모듈 등 부품들을 배열해 설계도를 만들고 제조업체에 판매하는 회사다. 사장을 포함한 5명 내외의 엔지니어들이 주축이며, 보통 프로젝트당 10만달러 내외를 받는다. 수백, 수천에 달하는 디자인 하우스 중 종합 샨자이지 업체로 변신하는 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만큼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디자인 하우스를 통해 자본을 축적한 기업들은 제조라인을 설립 또는 인수해 전방산업인 제조 공정까지 관여한다.
이 단계에서 어느 정도의 연구개발과 관리 시스템이 구축된다. 디자인 하우스 단계에는 도면 작성과 튜닝 업무만 하지만, 제조 라인을 갖추면 공정 및 양산에도 신경써야 하기 때문이다. 화창베이 시장 한편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스펙에 맞춰 휴대폰을 조립해주는 상점들이 많다. 이들이 바로 디자인 하우스 단계에서 제조 단계로 막 진입한 업체들이다. 이 과정에서 고정비 상승을 감당하지 못해 망하는 업체도 많다.
화창베이 시장에서 맞춤형 휴대폰을 판매하고 있는 친 샤오첸(34)은 “독특한 기능을 갖추거나,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지 못하면 살아남기 힘들다”면서 “샨자이지 제품도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살아남기 힘든 시대가 도래했다”고 말했다.
◇샨자이지 ‘브랜드’를 탐내다=월 200만개 제조 수준으로 성장한 샨자이지는 더 이상 샨자이지가 아니다. 자본과 기술력을 어느 정도 이상 확보하면서 보통 제조회사와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즉 샨자이지가 음지에서 양지로 나오는 시기다. 이 단계에서 많은 샨자이지 업체가 브랜드 기업으로 거듭난다. 로컬 기업 빅5 중 하나인 지오니가 대표적인 사례다.
월 50만∼100만대 제조 수준까지는 ‘주먹구구식’으로 버틸 수 있지만, 그 이상에서는 체계적인 관리와 공급망이 필요해진다. 월 50만대 이하의 제조 규모에서는 화창베이 시장 등을 통해 부품 조달이 가능하지만, 그 이상 규모에서는 공식적인 유통망으로 부품업체와 직접 거래해야 한다. 세금 회피가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부품 시장 수급에 따른 변동성도 커진다.
브랜드를 확보한 중국 로컬 업체는 해외 시장 공략을 시작하면서 노키아 등 저가 휴대폰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들과 직접 경쟁하기 시작한다. 중국 업체들이 인도·동남아·아프리카 등 GSM 계열 시장에서 힘을 발휘하면서 노키아는 물론 삼성까지 직·간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현지 업계 관계자는 “최근 중국 샨자이지 회사 6개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인도에 공장을 세우기도 하는 등 샨자이지 업체들의 양성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도 물밑에서 샨자이지 업계를 지원하고 있어 향후 저가 휴대폰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의 약진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선전(중국)= 이형수기자 goldlion2@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