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3곳 중 2곳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연구개발(R&D) 투자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R&D 투자 상위 40개 기업을 대상으로 향후 중점적인 R&D 투자분야 질문(복수응답)에 대해 응답기업의 67%가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들었다고 17일 밝혔다. 이어 스마트그리드 등 전력(33%), 반도체 소자 등 신소재·나노융합(30%), 2차전지 등 에너지효율 향상(30%), 전기차 등 그린수송시스템(27%) 등의 순이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신성장동력 및 원천기술 R&D 세제지원 정책’에 대해서는 87%가 투자활성화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또 이번 정책 확정 후 투자 계획과 관련, 77.4%가 ‘예정대로 집행하겠다’고 했으나 ‘계획보다 확대하겠다’는 응답도 19%나 됐다.
정부의 R&D 세제 지원 정책과 관련해 보완해야 할 사안으로는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된 주요 기술을 주기적으로 보완 및 추가(49.1%) △연구시험용 시설과 기자재도 세액 공제 대상에 포함(30.3%) △세액공제 대상 적용시 유연성 제고(10.4%) 등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 전경련측은 “향후 R&D지원정책 집행 시에는 기업의 R&D투자 확대라는 정책 도입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세액공제 대상 기술 범위 확대와 함께 유연성 있는 제도 운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표/기업의 R&D 중점투자분야(단위:%)
구분 응답률
신재생에너지 67
전력 33
신소재·나노융합 30
에너지효율향상 30
그린수송시스템 2
LED응용 23
탄소저감에너지 20
디스플레이 20
콘텐츠·SW 1
RFID 17
원자력 17
바이오제약·의료기기 13
자료:전경련(R&D투자 상위 40개사 조사, 복수응답)
경제 많이 본 뉴스
-
1
법인 가상자산 투자 풀린다…비영리법인부터 단계적 허용
-
2
토스, 커머스 인재 대거 흡수…쇼핑·페이 확장
-
3
영풍, 지난해 '역대 최악 실적'…순손실 2633억
-
4
[데스크라인]법인 가상자산 투자, 혁신 기회가 되려면
-
5
골드바 품귀현상까지 부른 금값 상승, 金 ETF·실버바 강세로 번졌다
-
6
보조배터리·전자담배 기내 선반 보관 금지…초과 반입시 별도 승인 거쳐야
-
7
충남연구원, 2025년도 정책연구 본격 추진…전략과제 35건 최종 선정
-
8
한화손보, 글로벌 부품·반도체사와 연이어 사이버보험 '단독계약' 돌풍
-
9
유니온커뮤니티 日 NEC에 ODM 공급… 일본 수출 핵심 채널 확보
-
10
[ET라씨로] 코리아써키트, 영업익 흑자전환 기대감에 주가 22%↑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