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확산땐 주요소 70%가 문닫는다”

자동차 선진국인 일본에서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차가 빠르게 확산할 경우 향후 10년 내 전국 주유소의 3분의 2가 문을 닫게 될지도 모른다는 관측이 나왔다. 대다수 선진국들이 친환경차 보급에 역점을 두는 상황에서 이 같은 부작용은 일본만이 안게 될 고민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유제품딜러연합(FPPDA)에 따르면 앞으로 친환경차가 늘어나면서 현재 4만여개에 달하는 전국 주유소 가운데 3분의2 가량이 오는 2020년이면 폐쇄 위기에 몰릴 수 있을 것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15일 보도했다.

FPPDA는 정부 예측대로 오는 2020년 신차 판매량의 약 절반, 전체 운행 차량의 20%를 친환경차가 차지할 경우 연간 가솔린 소비량은 지난 2008년 대비 29%나 급감한 4088만㎘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연간 경유 소비량은 이 기간 15%나 감소한 2866만㎘로 떨어질 전망이다.

FPPDA 측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오는 2020년 지금의 3분의 1에 불과한 1만2500개 주유소만 살아남을 것”으로 우려했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이미 지난 수년간 2000곳 이상의 주유소가 문을 닫았고, 이 같은 추세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대도시를 제외한 산악·시골 지역의 경우 주유소의 경영난으로 인한 폐점은 지역 사회에 미치는 타격이 한층 클 것으로 우려됐다. 출퇴근을 비롯한 생활 대부분을 자동차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유를 위해 수십㎞씩 떨어진 주유소를 가야 한다면 시골 지역의 삶의 질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마사토시 고지마 토요대 교수는 “주유소가 없다면 수많은 지역 사회는 더 이상 살 수 없는 곳이 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최근 일본 공공·민간 부문에서는 친환경차 보급으로 인한 주유소 경영난을 타개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이렇다할 묘안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존 주유소에 전기차 충전소를 마련하거나 친환경차 개조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책이 거론된다. 그러나 전기차 충전소를 짓는데만 최소 1000만엔(약 1억2500여만원)이 소요되고, 유지보수 비용만 해도 연간 190만엔에 달한다. 전기차 일회 충전시 현행 500엔의 요금만으로는 이 같은 부담을 감당할 수 없어 주유소들이 선뜻 반기지 못하는 것이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