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이 주요국들 가운데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07년 전체 에너지 생산량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은 한국이 1.4%로 조사 대상 30개국 가운데 꼴찌였다.
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 에너지를 통틀어 부르는 말로 화석 연료나 핵분열을 이용한 에너지가 아닌 대체 에너지의 일부이다.
신에너지는 핵융합, 연료전지, 수소에너지며 재생에너지는 동식물에서 추출 가능한 유지, 에탄올을 이용한 에너지, 태양열, 태양광, 풍력, 조력, 지열 발전 등을 의미한다.
2007년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은 아이슬란드가 75.5%로 가장 높았고 노르웨이(50.4%), 뉴질랜드(31%), 스웨덴(30%), 오스트리아.핀란드(23.3%) 순이었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이 5% 이하인 국가는 미국(5.0%), 체코(4.9%), 네덜란드(3.6%), 일본(3.1%), 아일랜드(2.9%), 룩셈부르크(2.6%), 영국(2.3%), 한국(1.4%)이었다.
이처럼 한국은 신재생에너지의 공급 비중이 주요 국가에 매우 낮은 편인데다 매년 증가 폭도 미미한 수준이었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은 2000년 0.9%, 2001년 1.0%, 2002년 0.9%, 2003년과 2004년 1.1%, 2005년 1.2%, 2006년 1.3%, 2007년 1.4%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미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통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2401억원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수산자원보호구역 내 신재생에너지 시설물의 설치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이용 기자재 31개 품목의 관세가 50% 감면됐으며, 수도권 매립지에 2017년까지 세계 최대의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
1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2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3
“美 트럼프 행정부, TSMC에 '인텔과 협업' 압박”
-
4
삼성·LG 가전, 美 사이버보안 인증 촉각
-
5
TSMC가 인텔과 파운드리 합작?…美 애널리스트 가능성 제기
-
6
한미반도체, 13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
7
“트럼프 행정부,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 변경·지급 연기 추진”
-
8
삼성전자·LG전자, 상업용 사이니지에 'AI 기반 타깃 광고' 새바람
-
9
코웨이, 4조 클럽 입성…비렉스·정수기 '쌍끌이'
-
10
고려아연, '中 수출 통제' 인듐 공급망 핵심 부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