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PLC-무선통신 융합기술 세계 첫 상용화

한국전력공사(KPECO)는 6일 고속 전력선통신(PLC) 기술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바이너리(binary) CDMA를 융합한 기술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상용화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PLC를 구현하려면 변압기마다 40만원 상당의 PLC집중장치를 설치해야 했지만 이번에 500m 반경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결합하는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PLC 집중장치를 광역화해 거점에만 운용,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한전은 기대했다. 특히 이번 기술은 PLC집중장치가 정전ㆍ과부하 조절 같은 변압기 감시가 필요없는 농촌 등 저밀도 전력 수용지역엔 비용 문제로 설치하기 곤란했던 단점을 보완했다.

즉 바이너리CDMA로 각 가정의 검침 데이터를 무선통신 기술이 결합한 거점 PLC집중장치로 보낼 수 있어 `스마트 그리드` 환경의 소외지역을 없앨 수 있다고 한전 측은 설명했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융합기술은 지능형 원격검침(AMI), 가전기기 제어용 가정네트워크(HAN) 등 미래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다양한 데이터 처리에 매우 쓸모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PLC는 전국에 깔린 전력망을 이용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술로 한전은 현재 이 기술을 이용, 5만6천호의 무인 전력 원격검침, 전기ㆍ가스ㆍ수도의 통합검침을 시범적으로 활용중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