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이 내년 4월께 국가종합조달전자시스템인 나라장터에 ‘지문 인식 전자입찰 제도’를 전면 시행하기로 했다.
당초 내년 7월께 지문인식 기술을 도입해 인증서 불법 대여를 통한 불법 전자 입찰 행위를 차단할 계획이었으나 비리 확산을 막기 위해 시기를 3개월 앞당기기로 했다. 이를 계기로 지문인식 기술이 금융거래·e러닝 등 본인 신원 확인이 필요한 분야에 속속 도입될 것으로 예상돼 생체인식 산업은 모처럼 활기를 띨 전망이다.
조달청은 실제 입찰자의 신원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보안 토큰에 지문인식 기술을 접목한 지문인식 전자 입찰 시스템을 내년 4월부터 나라 장터에서 본격 운영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조달청은 전면 시행에 앞서 다음주 500명의 지원자를 뽑고 다음 달 16일부터 5개월 동안 기존 공인인증서 방식과 지문인식기술을 병행 사용해 사전 운영적합성을 철저하게 검증하는 등 개선점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문인식 전자 입찰 제도’는 입찰자들이 조달청을 직접 방문, 신원 확인 과정을 거친 후 지문 센서 모듈을 장착한 바이오 보안 토큰에 지문 정보 3개와 공인인증서를 함께 저장한다.
이후 휴대폰이나 PC를 통해 전자입찰시스템에 접속, 1차로 바이오보안토큰에 저장한 지문과 실제 입찰자의 지문이 일치해야만 인증서를 선택해 투찰할 수 있다. 조달청은 사업자 한 곳당 3개의 바이오 보안토큰을 발급하기로 했다.
조달청이 내년 4월 전면 시행하면 공공 분야에서 최소 50만개 이상의 지문 인식 모듈 및 리더 수요가 새롭게 창출된다. 특히 지문인식 전자입찰제도가 제대로 정착되면 바이오보안토큰이 인터넷 뱅킹, 사이버 교육 강의, 출입통제 등 본인 식별이 필요한 다른 분야에도 확산될 전망이다.
조달청 관계자는 “전자 입찰에 지문인식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오프라인 신원 확인 효과가 온라인 환경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유지돼 부정 입찰 업체가 다수 업체의 공인인증서를 소유하고 다수의 전자입찰에 참여하는 부정 입찰 행위를 차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kr
경제 많이 본 뉴스
-
1
법인 가상자산 투자 풀린다…비영리법인부터 단계적 허용
-
2
토스, 커머스 인재 대거 흡수…쇼핑·페이 확장
-
3
영풍, 지난해 '역대 최악 실적'…순손실 2633억
-
4
[데스크라인]법인 가상자산 투자, 혁신 기회가 되려면
-
5
골드바 품귀현상까지 부른 금값 상승, 金 ETF·실버바 강세로 번졌다
-
6
보조배터리·전자담배 기내 선반 보관 금지…초과 반입시 별도 승인 거쳐야
-
7
충남연구원, 2025년도 정책연구 본격 추진…전략과제 35건 최종 선정
-
8
한화손보, 글로벌 부품·반도체사와 연이어 사이버보험 '단독계약' 돌풍
-
9
유니온커뮤니티 日 NEC에 ODM 공급… 일본 수출 핵심 채널 확보
-
10
[ET라씨로] 코리아써키트, 영업익 흑자전환 기대감에 주가 22%↑
브랜드 뉴스룸
×